요즘 게임의 부작용에 대한 이슈가 커지고 있다. 문광부 담당이었던 게임이 여가부가 가세해서 셧다운제 같은 규제를 내놓더니 교육과학기술부까지 나서서 또 다른 규제를 내놓았고, MBC의 삽질부터 시작해서 각종 언론 매체에서 게임을 잡아 족치고 있다.
여기에 수많은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서 진실이나 다양한 의견은 신경도 안쓰는 듯하다. 오직 누구 책임이냐 아니냐만 따지는 느낌.
아이의 게임 과몰입은 분명 존재한다. 때로는 심각한 수준이 되기도 한다. 그게 게임 탓일까? 내 생각엔 아니다. 손가락을 유독 심하게 빠는 아기가 있다면 손가락이 죄일까?
‘위생가설’이라고 들어 봤는지 모르겠다. 오래전에 의사나 과학자들이 이상한 현상을 발견했다. 오히려 깨끗한 도시 사람들이 알러지나 천식, 아토피 같은 애매한 질병들이 많은 것이었다. 공해때문이라 생각했으나 공해만이 원인은 아니었다. 어린시절 개발이 덜된 시골에서 자란 아이들은 도시에서도 그런 질병에 강했다.
그래서 만들어진 가설이고, 여러차례 검증도 된 것이 바로 ‘위생가설’. 어린 시절 흙과 풀과 함께 자란 아이들은 미생물과 오염물질을 ‘적당히’ 접하게 되고, 적절한 면역 반응을 익히게 된다. 깨끗한 환경에서 자란 아이들은 이런 경험을 하지 못한다. 그래서 나중에 겪은 오염에 과민반응을 하게 된다. 알러지등의 질환은 우리 몸의 면역 기능이 오염물질에 과민반응해 정상 세포를 공격해서 생기는 질환이다.
게임에 과몰입 하는 것도 같은 현상이 아닐까? 어렸을 때 부터 아이들은 끼리끼리 놀고, 서로 싸우고, 부모와 친척들과 놀면서 자라야 올바른 오락과 사회성을 익힌다. 하지만 현대 사회는 그럴 틈이 없다. 3살때부터 영어를 가르치고, 유아원과 학원 뺑뺑이를 돌리고, 집에 오면 부모들은 없거나 늦게 돌아와 서둘러 집안일을 하다 피곤해 쓰러져있다. 다른 친척도 없고, 주변에 친척 형제들도 없으며, 같은 고생중인 친구 몇명과만 학원 오고 유치원과 학교 가다 장난칠 뿐이다.
적절히 오락을 즐기고 그만둘줄 모르며, 인간 관계에서 즐거움과 절제를 배우지 못하고, 스트레스와 부족감만 느끼는 아이들. 그 아이들에게 게임은 어떻게 다가올까? 장소 제한 없이 놀아주는 게임속 친구들, 영웅이라 치켜 세우며 마왕을 물리쳐달라고 치켜세워주는 NPC들이 가득한 게임 말이다. 현실에서 즐겁게 놀다가 그만두는 걸 배운적 없는데, 게임속에서 배울 수 있을까?
…그리고 그걸 셧다운제로 로그아웃하게 만들면 배울수 있을까?
…어리석은 인간들은 감기에 걸리면 손 씻고 잘먹고 운동할 생각을 하지 않고, 주사 한방, 약 한 줌으로 해결하려 한다. 그리고 또 감기에 걸리며 감기를 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