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데이터포털의 기상청 API를 1년 이상 써본 후기, 못 써 먹겠다.

“오늘 우산 필요해?” 사이트를 만든지 1년 3개월이 지났다. 이 사이트는 공공데이터포털의 API 3가지를 사용하는데, 각각 “기상청_단기예보 ((구)_동네예보) 조회서비스” , “기상청_기상특보 조회서비스”, “한국환경공단에어코리아대기오염정보” 이다.

그런데, 이 API들은 툭하면 응답시간이 10초 이상 걸린다.

가장 큰 문제는 단기예보 API에 있는 “초단기예보조회”인데, 이 API는 300초 이상 걸리는 경우도 하루에 몇 번 정도 있다. 날씨가 안 좋은 날에는 부하가 걸리는지 아예 timeout 이나 500 서버 오류가 나기도 한다.

“초단기예보조회”의 정확도도 문제인데, “초단기실황조회”에서 현재 날씨가 비가 오는데, “초단기예보조회”에는 비 예보가 하나도 없다던지 식으로 두 API가 안 맞는 경우가 많다. 뭐 예보가 틀릴 수도 있지만, 문제는 하루종일 비가 와도, 맑다는 예보는 수정을 안한다. 계속 맑음이란다. 네이버 날씨에 있는 기상청 자료는 그런 경우에 2,3시간 안에 새로운 예보로 갱신을 하던데, 단기예보 API는 수정되는 경우를 보지 못했다. 갑자기 날씨가 바뀌어도 항상 아침에 본 예보가 저녁까지 그대로이다. 비오는 것 뿐 아니라, 온도나 습도도 자주 틀린다.

이래서야 공공데이터로 유용한 사이트를 만들기는 힘들지 않을까? 혹시라도 개선될까 하고 지켜봤지만 그럴 기미가 없다. 그렇다고 해서 국내 날씨 정보가 정확하고 빠른 무료 API가 있는 것도 아니고…

파이어폭스 안드로이드에 200개 이상의 확장기능이 가능할 예정?

파이어폭스 확장기능 커뮤니케이션 블로그에 지난 1일 올라온 글에 따르면, 12월중에 안드로이드용 파이어폭스에서 200개 이상의 확장기능이 사용 가능해질 예정이다.

버전 120 수명주기내에 라는 표현이 있지만, 버전 120은 11월 말에 나올 예정이고, 구체적으로 12월 언젠가라고 언급한거 보니, 시기는 12월이 맞는듯.

그동안 꼼수로 사용하던 확장기능이 정식버전에서도 훨씬 많이 사용 가능해진다니, 무척 기대되는 소식이다.

안드로이드용 파이어폭스는 제한적인 확장기능 외에는 일반 유저들에게 어필할 다른 경쟁 브라우저와 차별점이 없기 때문에, 이런 조치는 진작에 했어야 했다. 많이 늦었지만 환영한다.

ps. 지난 11월 28일에 12월 14일에 400개의 확장기능이 안드로이드용 파폭에서 가능해질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하지만 저 400개에 내가 원하던 TWP 확장기능은 없는 듯.

낙성대 힐링페스티벌 주관사 (주)생황과 사람들, 일처리 정말 못한다

2023년 9월 9일, 서울시 후원, (주)생황과 사람들이라는 회사의 주관으로 “낙성대 힐링페스티벌”이라는 축제가 열렸다.

우리 애들은 그림을 그리는 걸 좋아해서 청소년 환경실천 그림대회에 참가했다.

더운 날씨였지만 애들은 열심히 그림 그리고 제출했다. 그런데 참가신청을 했을 때부터 준비물 문제로 문자를 애매하게 보내더니, 선착순 100명이라더니 150명을 받아버리지 않나. 그 후로도 뭔가 진행이 이상했다.

애들 그림 150명 심사하는데 5주가 걸린다고?

막상 예고보다 1차 심사결과 발표가 3일이나 늦게 나왔다. 그것도 링크를 따라가면 애들 이름이 자음 하나씩 틀렸다. ㅁ을 o으로 썼다던가 -_-

그리고 2차 발표일인 10월 21일 이후 아무런 안내가 없다가…

11월 3일이 되서야 늦어졌다고 안내 문자가 왔다.

11월 6일 오늘 온 문자는 결과발표가 아니라, 그림에 대한 설명을 문자로 달란다. 갑자기? 이제야? 어린 애들이 2개월 전에 그린 그림 내용을 기억하겠냐?? 그리고 그 내용을 참고해서 발표한다고?

항의가 있었는지 갑자기 정정 문자가 왔다. 에휴… 여기는 뭔가 행사 진행을 해본 경험이 없는 듯. 생각도 없는 것 같고.

ps. 11월 20일에 드디어 수상자 발표. 링크.
시상은 12월 13일이네 -_- 이거 연간 행사였냐

이어락 G10 게이밍 이어폰

국산 게이밍 이어폰. 4월말에 6만 2천원에 구매.

고급진 초록색 케이스로 되어 있었고, 구성품은 기본 이어폰, 1미터 USB AtoC 연장케이블, 추가 이어팁 6가지, 클립, 휴대용 하드 파우치, 천으로 된 미니 파우치 등.

처음에 노이즈가 있었는데, 실수로 단선이 되서 AS를 보냈더니 새것으로 교체해주셨고, 그 후로는 노이즈가 없어졌다.

이어폰이 USB-C타입이라 DAC가 내장되어 있고, 음질이 무척 깔끔하고 해상력이 좋다. 지금까지 써본 10만원 이하 이어폰에서 해상력은 최고 인듯. 특히 게임 중 발소리 듣기 좋게 최적화 되어 있는지 잘 들린다.

아쉬운 점으로는 케이블이 좀 얇아서 잘 꼬이는 편이고, 중간에 있는 컨트롤러가 얇은 버튼이 한개있어서 활용도가 애매하다. 여러번 눌러 앞뒤로 가는 식은 개인적으로 싫어해서. 컨트롤러가 보통 이어폰들은 왼쪽에 붙어 있는데, 이건 오른쪽에 붙어 있는 것도 다른 점.

ALLDOCUBE iPlay50 mini 후기

큐텐에서 8만 7천원 정도에 샀다. 배송에는 4일정도 걸린 듯.

대충 사양은 AP는 Unisoc T606라는 듣보잡이고, 화면은 8.4인치 1920×1200 IPS LCD, 램 4GB, 저장공간 64GB(UFS2.1), microSD, LTE, 와이파이5, 블루투스5.0, 3.5mm이어폰단자 지원. 배터리 4천mAh(고속충전 지원 안함), 무게 292g 정도이다.

손에 쥐면 이런 정도

장점

  • 싸다. 10만원도 안한다.
  • 의외로 성능이 나쁘지 않다. AP는 그렇게 좋은건 아닌데, 저장공간(UFS2.1)이나 메모리가 나쁘지 않다보니 발목 잡는 것이 없어서 버벅임이 없는 그런 느낌. 앱을 많이 깔지만 않으면 쓸만할 듯.
  • 디스플레이도 그렇게 나쁘지 않다. 물론 살짝 삐딱하게 끼워져 있고, 색도 탁하고 색감도 그렇고 좀 별로이긴 한데, 최소한 20만원대 태블릿들과 견주어도 될 수준이다. 밝기도 준수하다.
  • 아이콘 등 몇 군데 커스터마이징이 되어 있지만, 90%정도 순정 안드로이드이다. 그래서 호환 문제는 아직 없다. 한글도 커스터마이징 된 부분은 번역이 안되어 있다.
  •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졌는지 외형이 크게 싸구려 느낌은 안든다. 멀리서 본다면…
  • 가볍다. 오히려 190g짜리 스마트폰보다 가볍게 느껴진다.
  • LTE가 된다. LTE되는 저가형 미니 태블릿이라니, 귀한 제품이다.
  • GPS가 있다. 하지만 지자기 센서가 없어서 방향을 인식 못하니 네비용으로는 별로이다.

단점

  • 모노 스피커에, 음질이 무척 구리다. 스피커가 달려 있다 수준.
  • 카메라도 그냥 달려 있다. 수준.
  • 넷플릭스가 SD화질만 된다. 글로벌 롬 기준 Widevine L3이며, 내수롬에서는 L1이 된다고 하지만 그래도 넷플릭스에 등록된 기기가 아니라서 SD만 된다. 유튜브와 몇몇 OTT는 HD가 됨.
  • LTE를 지원하는 기기이지만, 설정상 핸드폰에 가까워서, KT의 데이터쉐어링 유심을 사용할 때 태블릿에서 쓰던 유심은 인식을 못한다. 통신사가 폰 유심과 태블릿 유심을 구분할 경우 문제가 된다.
  • LTE 속도가 느리다. 체감상 스마트폰의 5분의 1밖에 안나오는데, 유튜브나 넷플릭스 보는데는 충분하지만 다운로드 등 몇몇 상황에서는 답답하다.
  • 단자가 좀 이상한 위치에 있다. USB단자도 윗부분에 가운데도 아닌 삐딱한 위치에 있고, 3.5mm 이어폰단자는 아예 모서리에 있어서 좀 위험하게 보인다.
  • 3.5mm 이어폰 음량도 그다지 좋지 않다. 최대로 해도 그리 귀가 아프지 않은 정도. 음질도 애매하고. USB-C 이어폰은 괜찮다.
  • 지문인식이나 얼굴 인식 등 보안장치가 없다. 그래서 매번 켤 때 패턴이나 비번을 넣어야 해서 불편하다.
  • 워낙 스마트폰용 안드로이드를 그대로 쓰다보니 잠금해제 패턴을 입력하는 영역이 화면 전체로 크게 설정되어 있다. 패턴 입력할 때 커다란 화면에 입력하니 불편하고, 패턴이 주변에 다 보인다.
  • 지자기 센서나 가속도 센서, 조도 센서 등 대부분의 센서가 빠져 있다.
  • 내구성이 별로일 것 같다. 겉면이 힘을 주면 삐그덕 거리는 소리가 난다. 1년만 써도 아깝지 않을 가격이지만.
  • 배터리 용량은 밝기 70%로 화면 켜짐 시간 5시간 이상 가기 때문에 무난하다. 고속충전은 안되지만 충전 시간은 1시간 남짓이라 큰 문제 없음.
  • 아주 가끔 2,3초간 터치를 씹거나 네트워크가 먹통 될 때가 있다. 주로 화면을 다시 켰을 때 그러는 걸 보면, 절전 기능이 버그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이어폰을 뽑으면 재생되던 미디어가 꺼지는 것이 정상인데, 반대로 이어폰을 뽑으면 멈춘 미디어도 다시 재생되는 경우가 있다. 은근 불편.

즉, 결론은 디스플레이와 성능은 적당히 쓸만하게 만들고, 나머지를 포기해서 가격을 최저로 만든 태블릿.

일단 쓸만한 LTE 미니 태블릿이 나오기 까지 버티는 용도로 그럭저럭.

파이어폭스 안드로이드에서 TWP 번역 확장기능 사용하기

파이어폭스 확장 기능 중에는 크롬처럼 페이지 전체를 번역해주는 확장기능이 있는데, 아쉽게도 파이어폭스 안드로이드에는 설치가 안된다. 파이어폭스 안드로이드에는 정해진 확장기능만 설치할 수 있기 때문.

방법이 있긴 한데, 파이어폭스 안드로이드 정식 버전은 안되고, 베타 버전과 나이틀리 버전에서만 가능하다.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파이어폭스 베타를 설치한다.
  2. 파이어폭스의 “설정” 메뉴로 들어가 맨 아래 “Firefox Beta 정보”를 선택한다.
  3. 정보 페이지에서 파이어폭스 로고를 5번 누른다. 그러면 디버그 모드가 활성화 된다.
  4. 다시 설정 화면으로 돌아가면 “고급” 항목에 “사용자 지정 부가 기능 모음집”이라는 메뉴가 추가되어 있다.
  5. 여기에 아래 그림 처럼 아이디 “13306517” 이름 “first”를 넣는다. (내가 모아 놓은 파이어폭스 안드로이드 기본 확장기능 + TWP 모음집이다.)
  6. 확인을 누르면 파이어폭스가 종료되고 재시작되는데, 부가 기능을 확인해 보면 TWP 번역 확장 기능이 추가되어 있다. +를 눌러 설치해서 사용한다.

위의 스크린샷 처럼, 외국어 사이트를 잘 번역해 주는 것을 볼 수 있다. 단점이라면 항상 아래쪽에 번역바가 성가시게 떠 있어서, 필요 없는 사이트 별로 “이 사이트 번역 안함”같은 설정을 해 주어야한다. 아니면 확장기능의 옵션중에 손가락 3개를 터치했을 경우 번역바가 뜨게 하는 기능이 있으니 그걸 써도 좋다.

스마일베어 영양한끼 오트밀 그레인

약사 메디슨맨님이 유튜브에서 이벤트를 해서 받은 제품. 저거 7개 들은 한상자가 시중에 2.5만원에 팔리고 있는 듯.

간편하게 뚜껑을 열어서 물을 취향대로 넣고 흔들어 먹으면 된다. 맛은 달달한 미숫가루 맛. 단백질과 섬유질이 10g 이상 들어있고 귀리, 현미, 아몬드 등 다양한 곡물이 들어 있는 것이 장점.

단점으로는 당류가 6.2g으로 많은건 아니지만 어느정도 들었고, 혀로 느끼기에도 단 편이다. 그리고 아몬드를 가루가 아니라 조각으로 넣어서 씹히는 건더기가 있는 것은 좋은데, 마시다 보면 아몬드가 안나오고 입구에 잔뜩 걸려 있어서 좀 불편하다.

개인적으로는 간편한 다이어트 식사용으로 딱이긴 한데, 가격이 좀 비싸서 사먹을 계획은 없다.

아반떼에 16기통 엔진 장착한 것 같은 Poco F5 사용기

포코 F5를 발표당일인 5월 9일에 얼리버드로 구입해 5월 19일에 받았다.

스냅드래곤8 젠1과 거의 동일하다는 스냅드래곤7 젠2를 최초로 탑재한 기기인데, 특징이 그거 하나다. 즉, 중저가폰에 고성능 AP를 넣어 가성비를 노린 스마트폰이다. 중국 내수용은 홍미노트12터보, 해외용은 포코 F5로 판매 중.

아래는 대충 장단점 요약.

장점

  • 훌륭한 가성비
  • 플래그쉽 안부러운 AP 성능
  • 메모리 많고, 저장소 빠름.
  • 카메라 화질이 좋은 편.
  • 카메라 OIS
  • 배터리가 오래가는 편임.
  • 포함된 전용 충전기 사용시 60분 남짓에 완충되는 충전 속도.
  • 적외선 리모콘 기능
  • 진동모터가 나름 괜찮음.
  • 디스플레이 색감을 정말 자유자재로 설정 가능
  • 181g으로 요즘 폰 치고는 무척 가볍다.

애매함

  • 디스플레이 품질. AMOLED인데 약간 선명함이 덜하고 색감도 조금 누렇다. 제작사는 악명높은 Tianma.
  • 외관 디자인은 준수한데, 재질이 다소 싸구려 티가 남.
  • IP53방수. 그냥 물방을 튀는거 막는 수준.
  • 카툭튀가 있긴 한데 심하지 않고, 폰을 놓으면 거의 수평이 맞는다.

단점

  • 스피커 음질이 별로. 특정 음역들이 죽는 느낌이 심하고 음량도 애매함.
  • 이어폰 단자가 위에 있음. 기존 홍미노트 시리즈의 아래쪽이 편한데.
  • AOD라면서 10초만 켜져도 별로 쓸모가 없음.
  • 알림 LED가 없음.
  • 너무 아이폰 비슷하고, 이래저래 복잡하고, 번역 이상하고, 광고까지 나오는 MIUI
  • 기존 샤오미폰들에 대부분 있던 FM 라디오 기능이 없음.

Vanced microG 배터리 소모 줄이기

Vanced나 ReVanced 를 기본 값으로 사용하다 설정의 배터리 소모량을 보면 microG가 배터리를 10~20%나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뭔가 버그가 있는 모양인데…

어쨌든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Vanced나 ReVanced 앱의 설정 > MicroG Settings
  2. 클라우드 메시징 항목에 들어가 “푸시 알림 수신”을 끈다.
  3. 클라우드 메시징이 “꺼짐”으로 되어 있으면 끝

부작용으로 Vanced나 ReVanced 앱애서 푸시 알림이 수신되지 않거나 늦게 올 수 있다. 뭐 알림은 유튜브 앱으로 받으면 되니.

GitHub Copilot 사용기

깃헙 코파일럿을 몇 개월간 php 개발에 써 본 후기.

결론부터 말하자면 “구글링을 확 줄여줄 정도로 아주 발전되고 편리한 자동완성 기능” 그 이상 이하도 아닌 듯.

예를 들어 a만 쳐도 a로 시작하는 함수와 메소드가 나오고, 어떤 변수를 넣어야 하는지 알려주는 자동완성 기능은 원래 편집기에 있었다. 그 덕분에 str로 시작하는 함수가 어떤 것은 _가 들어가고 어떤 것은 안들어가도, strpos에는 찾는 단어가 두번째 인자인데, preg_match에는 찾는 단어가 첫번째 인자인 식으로 개판이어도 우리는 매번 구글 검색 안해도 별로 실수를 하지 않는다.

깃헙 코파일럿은 여기에서 더 나아가서, 함수를 만드는 단위도 자동완성을 시켜준다. 주석을 영문으로 해도 좋지만, 한글로 쳐도 꽤 자동완성을 시켜준다. 또한 반복적이거나 뻔한 내용이면 아주 지능적으로 다음에 입력할 몇 줄을 변수명 바꿔가며 자동완성 시켜주기도 한다.

하지만 함정이 있다. 유튜브에서는 마치 주석만 입력해도 개발을 다 해줄 것처럼 묘사하는 영상이 있지만 생각처럼 그런 경우는 많이 없다. 오히려 자동완성된 함수에서 미묘하게 틀린 부분이 있어서 그걸 찾아내는데 시간이 더 걸린 경우도 있다. 배열로 받아야 하는데서 boolean으로 받아 놓고 한참 뒤에 그거 foreach 돌리고 있는데 예외처리까지 되어 있어서 에러는 안나고 왜 결과가 안나오지? 하게 만든다던지, 한번 쓱 보기엔 문제가 없고, IDE의 기능으로도 문제를 검출하지 못하는데 자세히 봐야 결함을 알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자동완성식으로 작동하는 AI의 특징인듯.

즉 코파일럿은 디버깅이나 코드 읽는 것이 꽤 되는 사람이 쓸 수 있는 기능이다. ‘부조종사’라고 하기엔 좀 무섭다. 조종간은 꼭 붙잡고 있어야 하는 것이 테슬라의 오토파일럿과 비슷하달까. php말고 파이썬 같은게 훨씬 정확하다는 말도 있던데 글쎄 안써봐서…

의외로 좋았던 점은 주석 넣기 자동완성이었다. 개인적으로 주석을 쓰고 코딩을 하기도 하지만 마구 코딩을 하고 나서 나중에 주석을 추가하는 경우가 많은데, //를 입력하면 해당 코드에 적절한 주석을 제안해주는 경우가 꽤 많았다. 심지어 내가 자주 사용하는 날짜 이름 내용 형식까지 흉내 내서 주석을 제안해주니 편하더라.

어째튼 저작권 문제를 논외로 하면 편하고 쓰면 좋은 서비스인데, 월 10달러는 너무 심하고, 5달러면 아깝지 않겠는데…싶다. ChatGPT로 눈높이가 높아져만 가는 상황이라 더더욱.

ps. Tabnine 도 써봤는데, 코파일럿의 하위호환이다. 한글로 소통이 안된다는게 가장 단점이고, 무료로도 제한적인 기능(한줄 완성)으로 쓸 수 있다는 점 정도가 장점.

ps. 깃헛 코파일럿은 유로라서 쓰기 싫고, 무료 중에 비슷한 것을 원한다면 Codeium이 가장 나은 선택이다. 똑똑함은 깃헙 코파일럿보다 20% 모자라긴 한데, 언어 지원도 좀 더 폭 넓고 나름 비슷하게 자동완성을 해주고, 한글도 잘 인식한다. 채팅기능도 있어서 ChatGPT처럼 활용 할 수도 있고 코드 리뷰도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