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주 금요일 혼인신고를 했습니다. 구청에 가서 혼인신고 양식을 꺼내는데, 한 테이블에 ‘출생신고 양식’, ‘혼인신고 양식’, ‘이혼신고 양식’, ‘사망신고 양식’들이 나란히 있더군요. 인생이 여기 다 있구만…하는 만감이 교차하더군요.
어째튼 각설하고, 누군가 참고를 하도록 혼인신고시 준비해 갈 것들을 적어 봅니다.
- 동사무소에서 신고하는게 아니라 구청에 가서 신고해야 합니다.
- 부부의 신분증, 부부의 도장(싸인을 해도 됨).
- 증인될 사람들(2명)의 이름, 주민등록 번호, 도장(싸인을 해도 됨. 가짜 싸인도 유효. ㅋㅋ)
- 부부의 한자 이름, 성씨의 본 (예를 들어 김해 김씨, 진주 이씨 ), 주민등록번호, 본적 주소(등록기준지라는 란에 써야함)를 알아갈것. 성씨의 본은 양식에는 한자로 쓰라는데, 한글로만 써도 패스되더군요.
- 부부 각각의 부모님들 성함, 주민등록번호, 본적 주소를 알아 갈것.
- 신고하고 처리 기간은 3,4일 정도…길면 2주정도 걸린다고 하는데, 쉽게 1주일 생각하면 된다고 합니다.
- 1주일 정도후 전입신고는 동사무소에서 하면 된다고 하네요.
결혼신고 양식 예제
저는 먼저 결혼한 여동생과 어머님이 “혼인신고는 동사무소 가서 해도 된다”라고 우기는 바람에…괜히 동사무소 갔다가 헛걸음 했습니다. 구청으로 가셔야 해요. -_-; 잊지 않겠다.
글쓴이 : Draco (https://draco.pe.kr)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제 법적으로도 유부남이 되셨군요! ㅋㅋ
제가 결혼할때 즈음에는 인터넷으로 되지 않으려나요 ^^;
그럴지도 모르겠네요. 점차 뭐든 인터넷으로 가능해지는 시대잖아요
잉 의외로 늦게 하셨네요. 신고 하신 후 결혼하신 줄 알았는뎅
ㅎㅎ 마누라가 늦게 신고하려고 해서
혼인신고하고나면 처리될때까지 가족관련된 증명서류 발급이 안되더라구요;;
저는 그 기간에 연말정산 때문에 서류발급하려다 안되서 좀 당황했죠;
나중에 서류 발급해 ‘처’ 라고 되어있는 등본을 보면 기분이 참 이상합니다.^^;
아..그런 문제도 있군요. 전 미리 해서 다행이네요.
음. 1999년도 이긴하지만, 저도 동사무소에 가서 혼인신고 했습니다. 다만, 장인어른 서운하시다고 결혼하고 6개월 있다가 했습니다만. ㅋ~ 혼인신고하고 나서 등본 떼보면 마음이 뿌듯하죠
아들녀석 출생신고 하고도 그랬습니다. 집에 보면, 혼인신고 하고 뗀것, 아들 출생신고 하고 뗀건 모두 보관하고 있습니다. 
오…저도 등본 떼어 봐야겠네요
국가에서 인정하는 중고품(?)이 되신걸 축하드립니다.
뭐…나이로 쳐도 중고라서 괜찮습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