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어폭스 안드로이드에서 TWP 번역 확장기능 사용하기

(업데이트) 2024년 5월부터 파이어폭스 안드로이드에서 정식으로 사용 가능해져서 이 방법은 필요가 없다. https://addons.mozilla.org/ko/android/addon/twp-translate-for-mobile/

파이어폭스 확장 기능 중에는 크롬처럼 페이지 전체를 번역해주는 확장기능이 있는데, 아쉽게도 파이어폭스 안드로이드에는 설치가 안된다. 파이어폭스 안드로이드에는 정해진 확장기능만 설치할 수 있기 때문.

방법이 있긴 한데, 파이어폭스 안드로이드 정식 버전은 안되고, 베타 버전과 나이틀리 버전에서만 가능하다.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파이어폭스 베타를 설치한다.
  2. 파이어폭스의 “설정” 메뉴로 들어가 맨 아래 “Firefox Beta 정보”를 선택한다.
  3. 정보 페이지에서 파이어폭스 로고를 5번 누른다. 그러면 디버그 모드가 활성화 된다.
  4. 다시 설정 화면으로 돌아가면 “고급” 항목에 “사용자 지정 부가 기능 모음집”이라는 메뉴가 추가되어 있다.
  5. 여기에 아래 그림 처럼 아이디 “13306517” 이름 “first”를 넣는다. (내가 모아 놓은 파이어폭스 안드로이드 기본 확장기능 + TWP 모음집이다.)
  6. 확인을 누르면 파이어폭스가 종료되고 재시작되는데, 부가 기능을 확인해 보면 TWP 번역 확장 기능이 추가되어 있다. +를 눌러 설치해서 사용한다.

위의 스크린샷 처럼, 외국어 사이트를 잘 번역해 주는 것을 볼 수 있다. 단점이라면 항상 아래쪽에 번역바가 성가시게 떠 있어서, 필요 없는 사이트 별로 “이 사이트 번역 안함”같은 설정을 해 주어야한다. 아니면 확장기능의 옵션중에 손가락 3개를 터치했을 경우 번역바가 뜨게 하는 기능이 있으니 그걸 써도 좋다.

스마일베어 영양한끼 오트밀 그레인

약사 메디슨맨님이 유튜브에서 이벤트를 해서 받은 제품. 저거 7개 들은 한상자가 시중에 2.5만원에 팔리고 있는 듯.

간편하게 뚜껑을 열어서 물을 취향대로 넣고 흔들어 먹으면 된다. 맛은 달달한 미숫가루 맛. 단백질과 섬유질이 10g 이상 들어있고 귀리, 현미, 아몬드 등 다양한 곡물이 들어 있는 것이 장점.

단점으로는 당류가 6.2g으로 많은건 아니지만 어느정도 들었고, 혀로 느끼기에도 단 편이다. 그리고 아몬드를 가루가 아니라 조각으로 넣어서 씹히는 건더기가 있는 것은 좋은데, 마시다 보면 아몬드가 안나오고 입구에 잔뜩 걸려 있어서 좀 불편하다.

개인적으로는 간편한 다이어트 식사용으로 딱이긴 한데, 가격이 좀 비싸서 사먹을 계획은 없다.

아반떼에 16기통 엔진 장착한 것 같은 Poco F5 사용기

포코 F5를 발표당일인 5월 9일에 얼리버드로 구입해 5월 19일에 받았다.

스냅드래곤8 젠1과 거의 동일하다는 스냅드래곤7 젠2를 최초로 탑재한 기기인데, 특징이 그거 하나다. 즉, 중저가폰에 고성능 AP를 넣어 가성비를 노린 스마트폰이다. 중국 내수용은 홍미노트12터보, 해외용은 포코 F5로 판매 중.

아래는 대충 장단점 요약.

장점

  • 훌륭한 가성비
  • 플래그쉽 안부러운 AP 성능
  • 메모리 많고, 저장소 빠름.
  • 카메라 화질이 좋은 편.
  • 카메라 OIS
  • 배터리가 오래가는 편임.
  • 포함된 전용 충전기 사용시 60분 남짓에 완충되는 충전 속도.
  • 적외선 리모콘 기능
  • 진동모터가 나름 괜찮음.
  • 디스플레이 색감을 정말 자유자재로 설정 가능
  • 181g으로 요즘 폰 치고는 무척 가볍다.

애매함

  • 디스플레이 품질. AMOLED인데 약간 선명함이 덜하고 색감도 조금 누렇다. 제작사는 악명높은 Tianma.
  • 외관 디자인은 준수한데, 재질이 다소 싸구려 티가 남.
  • IP53방수. 그냥 물방을 튀는거 막는 수준.
  • 카툭튀가 있긴 한데 심하지 않고, 폰을 놓으면 거의 수평이 맞는다.

단점

  • 스피커 음질이 별로. 특정 음역들이 죽는 느낌이 심하고 음량도 애매함.
  • 이어폰 단자가 위에 있음. 기존 홍미노트 시리즈의 아래쪽이 편한데.
  • AOD라면서 10초만 켜져도 별로 쓸모가 없음.
  • 알림 LED가 없음.
  • 너무 아이폰 비슷하고, 이래저래 복잡하고, 번역 이상하고, 광고까지 나오는 MIUI
  • 기존 샤오미폰들에 대부분 있던 FM 라디오 기능이 없음.

Vanced microG 배터리 소모 줄이기

Vanced나 ReVanced 를 기본 값으로 사용하다 설정의 배터리 소모량을 보면 microG가 배터리를 10~20%나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뭔가 버그가 있는 모양인데…

어쨌든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Vanced나 ReVanced 앱의 설정 > MicroG Settings
  2. 클라우드 메시징 항목에 들어가 “푸시 알림 수신”을 끈다.
  3. 클라우드 메시징이 “꺼짐”으로 되어 있으면 끝

부작용으로 Vanced나 ReVanced 앱애서 푸시 알림이 수신되지 않거나 늦게 올 수 있다. 뭐 알림은 유튜브 앱으로 받으면 되니.

GitHub Copilot 사용기

깃헙 코파일럿을 몇 개월간 php 개발에 써 본 후기.

결론부터 말하자면 “구글링을 확 줄여줄 정도로 아주 발전되고 편리한 자동완성 기능” 그 이상 이하도 아닌 듯.

예를 들어 a만 쳐도 a로 시작하는 함수와 메소드가 나오고, 어떤 변수를 넣어야 하는지 알려주는 자동완성 기능은 원래 편집기에 있었다. 그 덕분에 str로 시작하는 함수가 어떤 것은 _가 들어가고 어떤 것은 안들어가도, strpos에는 찾는 단어가 두번째 인자인데, preg_match에는 찾는 단어가 첫번째 인자인 식으로 개판이어도 우리는 매번 구글 검색 안해도 별로 실수를 하지 않는다.

깃헙 코파일럿은 여기에서 더 나아가서, 함수를 만드는 단위도 자동완성을 시켜준다. 주석을 영문으로 해도 좋지만, 한글로 쳐도 꽤 자동완성을 시켜준다. 또한 반복적이거나 뻔한 내용이면 아주 지능적으로 다음에 입력할 몇 줄을 변수명 바꿔가며 자동완성 시켜주기도 한다.

하지만 함정이 있다. 유튜브에서는 마치 주석만 입력해도 개발을 다 해줄 것처럼 묘사하는 영상이 있지만 생각처럼 그런 경우는 많이 없다. 오히려 자동완성된 함수에서 미묘하게 틀린 부분이 있어서 그걸 찾아내는데 시간이 더 걸린 경우도 있다. 배열로 받아야 하는데서 boolean으로 받아 놓고 한참 뒤에 그거 foreach 돌리고 있는데 예외처리까지 되어 있어서 에러는 안나고 왜 결과가 안나오지? 하게 만든다던지, 한번 쓱 보기엔 문제가 없고, IDE의 기능으로도 문제를 검출하지 못하는데 자세히 봐야 결함을 알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자동완성식으로 작동하는 AI의 특징인듯.

즉 코파일럿은 디버깅이나 코드 읽는 것이 꽤 되는 사람이 쓸 수 있는 기능이다. ‘부조종사’라고 하기엔 좀 무섭다. 조종간은 꼭 붙잡고 있어야 하는 것이 테슬라의 오토파일럿과 비슷하달까. php말고 파이썬 같은게 훨씬 정확하다는 말도 있던데 글쎄 안써봐서…

의외로 좋았던 점은 주석 넣기 자동완성이었다. 개인적으로 주석을 쓰고 코딩을 하기도 하지만 마구 코딩을 하고 나서 나중에 주석을 추가하는 경우가 많은데, //를 입력하면 해당 코드에 적절한 주석을 제안해주는 경우가 꽤 많았다. 심지어 내가 자주 사용하는 날짜 이름 내용 형식까지 흉내 내서 주석을 제안해주니 편하더라.

어째튼 저작권 문제를 논외로 하면 편하고 쓰면 좋은 서비스인데, 월 10달러는 너무 심하고, 5달러면 아깝지 않겠는데…싶다. ChatGPT로 눈높이가 높아져만 가는 상황이라 더더욱.

ps. Tabnine 도 써봤는데, 코파일럿의 하위호환이다. 한글로 소통이 안된다는게 가장 단점이고, 무료로도 제한적인 기능(한줄 완성)으로 쓸 수 있다는 점 정도가 장점.

ps. 깃헛 코파일럿은 유로라서 쓰기 싫고, 무료 중에 비슷한 것을 원한다면 Codeium이 가장 나은 선택이다. 똑똑함은 깃헙 코파일럿보다 20% 모자라긴 한데, 언어 지원도 좀 더 폭 넓고 나름 비슷하게 자동완성을 해주고, 한글도 잘 인식한다. 채팅기능도 있어서 ChatGPT처럼 활용 할 수도 있고 코드 리뷰도 해준다.

데이터그립(DataGrip) 테이블들이 갑자기 안보일 때

회사에서 DB 개발툴로 데이터그립을 사용 중인데 돈 내고 쓰는 유료 툴인데도 미묘하게 마음에 안 드는 부분이 많다.

특히 가끔 테이블이나 뷰나 루틴이 일부 사라져서 겁나게 하는데, 실제로 사라진 것은 아니고 캐시가 꼬인 것이다.

그 때는 해당 데이터소스에서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나오는 메뉴에서 진단 > 캐시된 스키마 잊기 를 선택하고 다시 스키마를 불러오면 된다.

데이터그립 버전 2022.3.3 기준.

유료 앱이 이딴 버그나 있고 말이야…

Visual Studio Code의 sftp 확장에서 우분투 서버 접속문제

현상 : 키를 이용해서 vscode sftp로 우분투 서버에 접속하려고 하면 인증문제가 계속된다. 터미널에서 ssh는 접속 가능한데 vscode에서만 안됨.

해결방법

우분투 서버에서
sudo nano /etc/ssh/sshd_config
마지막 줄에
PubkeyAcceptedKeyTypes=+ssh-rsa
추가해 준 뒤 저장
sudo systemctl restart sshd
로 sshd를 재시작.

그럼 vscode 에서 sftp 접속이 잘 된다.

원인 : 내가 설정한 서버가 아니라서 알게 뭐야…

“오늘 우산 필요해?”사이트 오픈

https://draco.kr/

아내는 매번 외출 할 때 나에게 묻는다. “오늘 비와?” “우산 필요해?”

그 때 내가 대답할 내용은 “오늘 비 올 확률은 몇 %이고…”가 아니다. “우산 가져가.” 이런 식의 간단한 답이다.

그걸 앱으로 구현한 것이 이 사이트이다. PWA로도 만들어서 아내의 폰에 설치해 놨더니 무척 만족해 하고 있다.

기상청 API가 예보가 틀리는 경우가 다소 있는 점이 아쉽지만, 더 월등한 API를 얻기 전까진 별 다른 수가 없어서…

티즐 제로 자몽블랙티

유튜브 안될과학 채널의 궤도님이 좋아한다고 알고 있었는데, 편의점에서 2+1 하길래 사 본 음료. 할인 전 정가는 1개당 2천원.

맛은 얼그레이 우려내고 자몽청 크게 한숟가락 넣은 느낌. 자몽향은 나름 강해서 해당 향이 싫은 사람은 못 먹을 것 같다. 홍차향은 뒤에 조금 딸려 온다. 나는 두가지를 다 좋아해서 괜찮았다. 단맛은 콜라 보다는 약간 덜 한 정도로 ‘2% 부족할 때’와 비슷하게 달다. 절반 정도만 달았으면 나에겐 베스트였을 듯.

성분표에는 카페인 표기가 없는데, 인터넷글을 검색해 보면, 어떤 사람이 제조사 고객센터에 문의해 본 결과 500ml 제품에 25mg의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다고 한다. 카페인에 엄청나게 예민한 사람이 아니면 느낌 없을 듯.

종합하자면, 맛과 향이 내 취향인데, 자몽향과 달달함이 내가 원하는 것의 2배 정도인 그런 제품. 얼음을 타 먹으면 딱이겠는데 귀찮다.

ps. 티즐 제로 유자그린티는 유자향이 강하고 달고, 티즐 제로 피치우롱티는 의외로 복숭아향이 적절하고 단맛이 덜 달아서 가장 무난하게 마실 수 있었다.

고전SF 매니아의 밀리의 서재 써보기

KT 사용자가 오랫동안 안바꾸고 충성을 바쳐봐야 주는 보상은 소용도 없는 멤버쉽 포인트 좀더 주고, 장기혜택쿠폰을 주는 것이다. 그런데 저 장기혜택쿠폰도 다른게 아니라 데이터/통화/시즌 플레인 이용권 3가지인데, 데이터와 통화는 이미 대부분 무제한이거나 충분한 요금제를 쓰니 소용이 없고, 시즌 서비스는 별로라 정말 쓸데가 없다.

그런데 올해 9월부터 시즌 플레인 이용권이 밀리의 서재로 변경된다고 한다. 오호… 전자책이면 쓸모가 있겠는 걸? 어릴 때 읽었던 추억의 작품들 다시 보고 싶었는데 잘 됐어. 찾아보자.

….단편집과 라마와의 랑데뷰 말고는 없네?

그럼 최신 작가들 꺼는?

마션은 그래도 있네.

환타지 쪽은?

호빗이랑 반지의 제왕은 재출간되서 있고, 어슐러 할머니 꺼는 어스시가 없네.

따님 보여줄 해리 포터도 없다.

그나마 따님이 제일 좋아하는 히로시마 레이코 것은 있음.

아드님이 좋아하는 마법천자문은 다 있네.

내가 좋아하던 작품들은 전자책 이전 세대들 책들이고, 워낙 매니아적이라 없을거라 예상은 했지만, 정말 없네.
그만 알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