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Note 장단점

UpNote는 최근에 사용하게 된 메모 앱이다. 타락 중(?)인 에버노트의 대체 서비스로 많은 사람들이 이용 중이라고 한다. 아주 훌륭하지만 장단점을 정리해 두면 누군가에게 참고가 될 것 같다.

장점

  • 빠르다. 앱의 반응속도가 상당히 빨라서 글을 입력하기 편하다. 동기화나 앱 실행도 시원시원한 편.
  • 한번 결제로 평생 이용하는 요금제가 존재한다. 요즘 서비스들은 월구독 가격만 존재하는 경우가 많은데, 2.8만원 정도에 한번 결제로 평생이용이 가능하다. (이 가격은 계속 오르는 중이다)
  • 검색에 중간단어 검색이 가능하다. 한글의 경우 띄어쓰기나 조사문제로 단어단위만 검색되면 검색이 불완전해 지는데, 이 앱은 중간단어 검색이 가능하다. “네이버”를 검색하면 “네이버”뿐 아니라 “네이버맵”도 검색되고, “길동”을 검색하면 “홍길동”도 검색된다.
  • 리눅스를 지원한다. 윈도우/맥/리눅스/iOS/안드로이드를 지원한다.
  • 로컬 자동 백업 기능을 지원한다. 설정된 간격으로 자동백업되게 할 수 있다.
  • 앱 디자인이 공돌이 감성이 별로 없고 예쁜편이다.
  • 마크다운 지원
  • 집중 모드, 타자기 모드 등 지원
  • 웹브라우저 클리핑 확장기능 지원. 다만 단독작동은 아니고 앱이 실행중이어야 작동한다. 스마트폰에서는 공유기능으로 저장하면 링크만 저장됨.

단점

  • 제작사가 베트남 회사이다. 중국만큼은 아니겠지만 공산주의 국가의 회사이다 보니 프라이버시를 어느 정도 엄격히 할지는 모를 일이다. 일단 고객의 데이터를 미국서버에 업로드 중이고, 외부에 판매하거나 광고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문제가 있을 경우에만 권한부여를 하겠다는 설명이 있기는 하다. https://getupnote.com/privacy.html
  • 한번 결제하고 평생 쓸 수 있는 것은 장점이지만, 과연 그 돈으로 지속적인 운영이 가능한가?는 의문이다. 서비스회사의 월급과 서버 이용료는 월지출일테니. 그래서 그런지 평생 요금제가 시기가 지날 수록 조금씩 인상되고 있기도 하다.
  • 암호화 저장을 하지 않는다. 통신 단계에서 암호화만 하는 듯.
  • 로그인 2단계 인증이 없고, 엉뚱한 IP로 로그인 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보안조치를 하지 않는다. 비밀번호를 더 엄격하게 설정하거나, 구글계정으로 계정을 만들어 간접적인 2단계 인증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 업로드 파일은 1개당 20MB 제한이 있다. 간단한 영상이나 pdf문서 파일을 올리고 싶은 사람들에겐 불편할지도.
  • 웹 앱이 없다. 윈도우/맥/리눅스/iOS/안드로이드의 앱 설치를 통해서만 작업이 가능하다.
  • 모바일 앱 UI가 조금 완성도가 떨어진다. 검색어를 넣고 엔터키를 누르면 검색어가 줄바꿈이 된다거나, 검색을 하고 나서 검색된 결과를 들어가면 검색 키워드가 풀린다거나 하는 자잘한 문제가 있다.
  • 날짜 삽입 기능이 있는데, 데스크탑 앱에서는 정해진 한가지 포맷만 가능하고(데스크탑 OS 속성 따라가는 듯?), 안드로이드 앱에서는 6가지 정도 포맷들 선택이 가능하다.
  • 문서끼리 서로 연결시키는 기능이 없다.
  • AI 같은 첨단기능은 없다

(이용해 보며 계속 내용 추가 중)

호스팅케이알 클라우드 DNS로 바꾸고 망함

얼마전 호스팅케이알에 클라우드 DNS라는 기능이 있길래, 기존 DNS보다 좋은가? IPv6도 지원하네? 한번 해보지. 하고 설정했는데…

방문자 폭락.

클라우드 플레어나 구글 DNS같은 해외 유명 DNS를 쓰는 경우 잘 들어올 수 있지만, 국내 통신사나 기타 여러 DNS들에서는 내 도메인에 대한 응답이 안되는 이상한 상태.

호스팅케이알에 문의해 봤지만 답이 없다 -_-

차라리 DNS를 빨리 바꾸는 것이 답일지도.

ps. 갑자기 일요일 12시 25분에 전화가 옴.
호스팅케이알쪽 책임자라고 LG U+쪽에 DNS응답을 잘 못하는 문제가 있어서 확인 중이라고 -_-

그걸 이제야 확인중이라는 거는 좀 어이없지만, 일요일에도 일하고 있는 사람에게 뭐라고 하기 뭐해서 그냥 네네 하고 끊음.

ps. vultr 쪽 DNS로 변경 후에 완전히 복구되었다.

커키 키보드 보라색 사용자 테마

구글 Gboard의 보라색 테마를 선호해서, 최대한 비슷하게 만들어 본 커키 키보드용 사용자 테마.

커키 키보드의 사용자테마는 파일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색상 코드가 있는 문자열을 클립보드로 복붙하는 식이다. 아래 코드를 복사해 사용하면 됨.

[45289f, f2eef8, 664db2, 664db2, ffffff, 53389f, 53389f, f2eef8, 53389f, 53389f, f2eef8, 664db2, 664db2, 53389f, ffffff, false, 0f, 8f, false, darkGray]

홍미노트8T에 픽셀익스피리언스12+ 롬 설치

샤오미 홍미노트8T가 1월 7일에 MIUI 12.5 안드로이드 11로 업데이트 되었다. 그런데 메모리 관리를 너무 심하게 하는 지, 리프레쉬라고 불리는 앱 강제종료 현상이 너무 심했다.

어느 정도냐면, 은행앱 실행하고 인증 문자, 인증 전화 받았다고 해당 앱으로 갔다가 되돌아오면, 은행앱이 재시작되서 처음부터 다시해야 한다거나, 쇼핑몰앱에서 결제앱을 띄우면 쇼핑몰앱이 재시작된다거나, 앱에서 링크를 눌러 크롬 커스텀 탭으로 웹페이지 하나 보고나서 되돌아오면 원래의 앱이 재시작되거나 하는 정도였다.

그리고 MIUI 12에서 잘 되던 LDAC연결이 안된다.

그래서 참다참다 이번에 언락하고 픽셀익스피리언스12+를 깔았다.

  1. 홍미노트8T 부트로더 언락을 한다. (2주 정도 걸림)
    참고 : https://en.miui.com/unlock/download_en.html
    https://saysensibility.tistory.com/1417
    https://saysensibility.tistory.com/1421
  2. TWRP 리커버리를 설치한다.
    (픽셀익스피어런스의 리커버리는 작동안함)
    https://twrp.me/xiaomi/xiaomiredminote8.html
  3. 픽셀익스피어런스 롬을 설치한다.
    https://download.pixelexperience.org/ginkgo
    https://wiki.pixelexperience.org/devices/ginkgo/install/

설치 후 앱 강제종료 문제가 속시원할 정도로 깨끗하게 사라졌다. 이제 내가 원하던 앱을 마음대로 설치하고, 런처와 위젯을 마음대로 사용해도 문제가 일어나지 않는다. 폰 작동도 더 부드럽고 빠르게 된다. 순정 안드로이드라 불필요한 앱이 없는 것도 좋은 점이다. LDAC 블루투스 연결도 이젠 잘 된다.

그리고 MIUI를 쓸 때 가끔 하루에 한두번 느꼈던, 2,3초 기기가 멈추어서 터치도 안먹다가 다시 작동하는 그런 문제도 사라졌고, 기기를 많이 쓰지도 않았는데 캐시가 4~5GB씩 쌓이던 이상한 문제도 사라졌다.

단점으로는 CJ대한통운 앱과 삼성화재앱이 루팅을 감지했다면서 작동하지 않는다. (루팅 안했다고) 은행, 카드, 쇼핑, 결제, 패스트푸드 주문앱(특히 악명높은 KFC앱)은 내가 사용하는 선에서는 정상 작동한다. 택배기사분들이 사용하는 PDA형태의 전화로 전화가 왔을 경우 픽셀 익스피어런스같은 AOSP롬들은 수신이 안된다는 말이 있는데, 아직 경험해 보지 않아 모르겠다.

픽셀 익스피어런스에 있는 기본 카메라앱이 너무나도 구린것도 문제인데, 구글 카메라 앱을 개조한 것을 설치하면 큰 문제 없이 카메라 기능들을 사용이 가능하다. https://www.celsoazevedo.com/files/android/google-camera/dev-suggested/
(여기서 Nikita’s 8.2 버전과 컨피그를 쓰면 한글도 지원되고 이래저래 쓸만한듯. 다만 가끔 강종된다)

2011년부터 써온 커스텀롬 생활을 2019년말 홍미노트8T를 사며 끝냈는데, 다시 2022년부터 어쩔 수 없이 커스텀롬을 써야 하게 되었다. -_- 결과는 여러모로 좋은데, 일단 더 사용하고 내용 추가 예정.

ps.
KT패스앱, CJ대한통운 앱, 삼성화재 앱 등이 커스텀롬임을 인식하고 실행이 안되는데, 방법은 있다.

  1. 볼륨-와 전원버튼을 길게 눌러 fastboot로 부팅.
  2. PC와 USB연결.
  3. TWRP 리커버리 이미지를 다운 받고,
    fastboot flash recovery 파일명
    명령으로 TWRP로 되돌아간다.
  4. 픽셀롬은 시스템 부팅하면 픽셀 리커버리로 되돌아가므로,
    볼륨+와 전원버튼을 길게 눌러 바로 TWRP로 부팅한다.
  5. TWRP의 마운트 메뉴에서 system 을 체크해서 시스템 마운트를 한다. (출시시 안드로이드 10미만인 폰만 시스템 수정 가능)
  6. adb pull /system/build.prop build.prop
    명령으로 build.prop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7. 편집기로 build.prop 파일을 열어,
    userdebug는 전부 user 로
    test-keys는 전부 release-keys 로 수정하고 저장한다.
  8. adb push build.prop /system/build.prop
    명령으로 build.prop 파일을 업로드한다.
  9. adb shell chmod 644 /system/build.prop
    명령으로 파일 권한을 수정한다.
  10. adb reboot
    명령으로 부팅한다.

ps.
배터리 소모는 체감상 10%정도 많은 것 같다. 하루 쓰기엔 충분하지만 조금 아쉽. -> 쓰다보니 최적화 되서인지 소모속도가 MIUI때 보다 줄어든 듯하다. 화면 켰을 때는 비슷하고, 화면 껐을 때 소모는 오히려 적다.

ps. OTA업데이트가 제대로 안되고 있다. 해결과제.

TTS용 간단한 날씨 문장 얻기

2012년에 만들어둔 작은 프로그램.

예를 들어 tasker의 http get 으로 https://draco.pe.kr/weather.php?stn_id=108 의 주소를 가져오면
“서울은 현재 구름이 많고, 기온은 27.0도입니다.”
의 문장을 얻을 수 있다. 이걸 TTS로 읽어주면 되는 간단한 사용법이다. 기타 여러 TTS에서 사용가능. 당연히 curl으로 사용해도 된다.


도시의 목록은 https://draco.pe.kr/weather.php 에서 얻을 수 있다.


데이터 소스는 기상청 https://www.kma.go.kr/XML/weather/sfc_web_map.xml 이다.

덧. 2025년 02월 07일. 일부 조건에서 영하 온도를 0도로 표시하는 버그를 수정.

YouTube Vanced 대체재 파이어폭스

YouTube Vanced 앱이 구글의 원펀치를 맞고 개발이 취소되었다. 그래서 NewPipe라든지 여러 대체 앱이 거론되고 있는 모양인데, 내 경우는 이미 사용하고 있는 앱이 있다. 파이어폭스 안드로이드 버전.

파이어폭스 안드로이드 버전에 위와 같은 부가 기능을 설치하고 유튜브 모바일웹으로 들어가 사용하면, 광고차단, 영상 고해상도 고정, 백그라운드 재생이 가능해진다. NewPipe와는 달리 유튜브의 고유기능인 좋아요, 댓글, 재생목록 등도 사용 가능하다.

단점이라면, 앱이 아니라 웹을 이용하기 때문에 작동이 조금 굼뜨고, 더블탭해서 앞뒤로 5초 이동하기 같은 앱에서 가능한 기능이 안된다. 또한 기기에 따라서는 해상도가 720p 등으로 제한될 수도 있다.

내 경우는 운동 중에 안될과학이나 엠장기획 같은 소리만 들으면 되는 영상을 듣기 좋아하는데, 광고 차단과 백그라운드 재생은 잘 되서 이렇게 사용 중이다.

코로나 자가검사키트 써 봄

회사 옆자리 동료가 휴가기간중 코로나 확진이 되서, 가능성이 높지는 않지만 어제 검사해봤다. 결과는 음성.

자가검사키트는 기존에 독감검사 같은걸로 써 본것과 딱히 다르지 않았다. 빠르고, PCR처럼 면봉을 깊게 찌르지 않아도 되서 편하다. 비용도 PCR보다는 저렴하고. 다만 검사 신뢰성이 PCR보다는 훨씬 낮고, 바이러스가 어느정도 몸안에 자리잡아야 검사된다는 점이 문제. 그것만 크게 개선되면 코로나19에 대한 공포심도 훨씬 덜해지고 좋을텐데.

에어레스트 AR05 초음파 가습기 사용기

지마켓에서 63,670원에 구매.
주요 조작 기능 : 자동, 수동 3단계, 종료시간예약 2/4/6/8시간

장점

  • 디자인이 깔끔한 원통형
  • 세척의 편리함. 수위센서도 분리되고, 내부 습기 배출구도 분리 세척이 된다.
  • 상부급수 가능.
  • 전원이 아답터 방식이라 코드를 뽑지 않아도 본체를 운반해서 세척할 수 있다.
  • 최대 분사량 350ml, 수조용량 4.2l 의 대용량. 이론상 12시간 사용.
  • 분사량에 비해서는 소음이 적은 편임.
  • 나는 안쓰지만, 아로마향을 물에 안 섞이고 별도로 넣고 증발시키는 방식이라 깨끗하게 향을 넣고 싶은 분은 좋을 듯.

단점

  • 물통이 원통이다보니 결합할 때 어디를 기준으로 결합해야 하는지 혼동되는데 표시가 없어서 불편. 딱 안맞아도 작동은 되지만, 안맞을 경우 물통에 물이 300ml 이상 남았는데도 물이 없다면서 꺼질 수 있다. 즉 물통을 잘 못 결합하는 것만으로 실질적인 사용시간이 최소 1시간정도 줄어들 수 있는 것.
  • 물통이 넘침 방지 디자인이 없고, 뚜껑이 상부급수를 위해 올려놓는 식이라 물을 채우고 옮길 때 넘칠 수 있다.
  • IoT기능이 있는데, 추가 장비를 사야하고, 그마저도 블루투스 연결이라 그다지 별로이다
  • 제품에 청소용품이 하나도 동봉되어 있지 않다.
  • 제품 설명 이미지가 다소 이상한데, 최대 분사량이 350ml라고 되어 있으면서 이미지 하단 스펙표에는 3단계가 315cc라고 되어 있다. 제품 메뉴얼에는 3단계가 330cc라고 되어 있는 등 뒤죽박죽이다.

초음파 가습기의 경우 청소의 간편함이 윤남텍 YN-101이 압도적으로 좋다. 하지만 윤남텍은 구조상 물통용량이 적을 수 밖에 없다. 물통용량과 분사량이 큰 초음파 가습기는 청소를 간편하게 만들기 어려운데, 이 미로 브랜드의 제품들은 그나마 여러가지 신경을 쓴 편.

파이어폭스96에서 위메프, 옥션 등이 로그인 안되는 문제

파이어폭스 96이 어제 업데이트 되면서 Schemeful Same-Site 쿠키를 허용하지 않게 되었다. 쉽게 말하면 특정사이트에서 http만 쓰면서 보안을 위한 답시고 로그인 과정만 https를 쓰면, http로 돌아왔을 때 로그인을 인정하지 않는다.

우리나라의 많은 사이트들이 – 특히 오픈마켓 사이트들 대부분- 그렇게 운영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로그인이 안되던 것.

애초에 그 사이트들이 잘못한 것이지만, 그들이 고칠리가 없으니 해결 방법은 about:config 에서 network.cookie.sameSite.schemeful 를 끄는건데, 모처럼 올려놓은 보안 기능을 끄는거라 찜찜하긴 하다.

그외에 HTTPS Everywhere 같은 확장기능으로 특정 사이트만 강제 https를 적용하는 방법이 있다고는 하는데 옥션등 몇몇 사이트는 아예 안먹힌다.

디즈니+ 장단점

간단히 써보면서 느낀 디즈니+ 장단점

장점

  • 디즈니 + 픽사 + 마블 + 스타워즈 + 네셔널지오그래픽 + 20세기 폭스 컨텐츠. 해당되는 영화면 최신영화도 많음
  • 넷플릭스에 비해 한국어 더빙된 작품이 압도적으로 많아 애들 보여주기 좋다.
  • 상대적으로 저렴한 이용료. 거기에 더해 카드사등과 제휴를 해서 이것저것 할인 받을 여지도 많다.
  • 디즈니나 픽사의 특별영상이나 단편이 많음.
  • 크롬캐스트 지원.

단점

  • 앱 최적화가 아직 부족하다. 불편한 점도 많고 작동이 버벅인다.
  • 웹사이트도 버벅이는데, 파이어폭스를 쓰면 몇 배로 버벅이는 듯.
  • 검색이 넷플릭스보다 부실하다. “좀비”를 넣으면 좀비물이 검색되는게 아니라 영화제목에 “좀비”가 들어간 것만 검색되는 식. 그리고 같은 검색어인데도 해당 영화가 안나오다가 다음날에는 나오기도 하고 뭔가 오작동하는 경우가 있다.
  • LTE 데이터로 스트리밍을 하면 내내 저해상도로 재생되는 경우가 많다. 모바일 데이터 사용시 넷플릭스는 데이터 사용을 최대로 설정할 수 있지만 디즈니+는 데이터 사용을 최소로 설정하는 것과 자동만 있다.
  • 10초 전후로 이동이나 원하는 지점으로 이동할 때도 버퍼링이 몇초 걸리고, 처음 재생할 때도 넷플릭스보다는 좀더 버퍼링이나 버벅임이 걸린다.
  • 오프닝이나 다음화로 건너뛰기가 없거나 애매하게 작동함. 넷플릭스에서는 이게 편했는데.
  • 자막 번역이 개판인 경우가 많다. 내가 들어도 오역인게 확실한 경우도 있고, 아예 생략해 버리거나, 비꼬거나 농담인 말을 일반대화처럼 번역하거나.
  • 해외 디즈니+에는 있는데 한국엔 없는 영화가 은근히 많다. (나중에는 개선될지도)
  • 모바일 기기에서 넷플릭스처럼 다운로드해서 나중에 보는게 가능한데, 생각보다 다운로드가 느리다. 1GB 다운받는데 1시간이 넘게 걸림.
  • 뽀로로가 없다. 뽀로로나 띠띠뽀, 신비아파트 같은 국내 유명 애니메이션이 넷플릭스에는 있지만, 디즈니+에는 없다. 뽀로로는 IPTV필수 컨텐츠라며 광고할 정도이니 단점은 단점.
  • 앱에서 영화 소개글이 아주 성의가 없다. “주인공 A와 주인공 B가 만나서 싸운다” 이런 수준.
  • 스파이더맨이 없다. 이건 소니라서, 넷플릭스에 있다.

결론을 내보자면 기본적으로 컨텐츠는 좋은데 서비스 완성도가 별로이고, 한국화가 부족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