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레스트 AR05 초음파 가습기 사용기

지마켓에서 63,670원에 구매.
주요 조작 기능 : 자동, 수동 3단계, 종료시간예약 2/4/6/8시간

장점

  • 디자인이 깔끔한 원통형
  • 세척의 편리함. 수위센서도 분리되고, 내부 습기 배출구도 분리 세척이 된다.
  • 상부급수 가능.
  • 전원이 아답터 방식이라 코드를 뽑지 않아도 본체를 운반해서 세척할 수 있다.
  • 최대 분사량 350ml, 수조용량 4.2l 의 대용량. 이론상 12시간 사용.
  • 분사량에 비해서는 소음이 적은 편임.
  • 나는 안쓰지만, 아로마향을 물에 안 섞이고 별도로 넣고 증발시키는 방식이라 깨끗하게 향을 넣고 싶은 분은 좋을 듯.

단점

  • 물통이 원통이다보니 결합할 때 어디를 기준으로 결합해야 하는지 혼동되는데 표시가 없어서 불편. 딱 안맞아도 작동은 되지만, 안맞을 경우 물통에 물이 300ml 이상 남았는데도 물이 없다면서 꺼질 수 있다. 즉 물통을 잘 못 결합하는 것만으로 실질적인 사용시간이 최소 1시간정도 줄어들 수 있는 것.
  • 물통이 넘침 방지 디자인이 없고, 뚜껑이 상부급수를 위해 올려놓는 식이라 물을 채우고 옮길 때 넘칠 수 있다.
  • IoT기능이 있는데, 추가 장비를 사야하고, 그마저도 블루투스 연결이라 그다지 별로이다
  • 제품에 청소용품이 하나도 동봉되어 있지 않다.
  • 제품 설명 이미지가 다소 이상한데, 최대 분사량이 350ml라고 되어 있으면서 이미지 하단 스펙표에는 3단계가 315cc라고 되어 있다. 제품 메뉴얼에는 3단계가 330cc라고 되어 있는 등 뒤죽박죽이다.

초음파 가습기의 경우 청소의 간편함이 윤남텍 YN-101이 압도적으로 좋다. 하지만 윤남텍은 구조상 물통용량이 적을 수 밖에 없다. 물통용량과 분사량이 큰 초음파 가습기는 청소를 간편하게 만들기 어려운데, 이 미로 브랜드의 제품들은 그나마 여러가지 신경을 쓴 편.

디즈니+ 장단점

간단히 써보면서 느낀 디즈니+ 장단점

장점

  • 디즈니 + 픽사 + 마블 + 스타워즈 + 네셔널지오그래픽 + 20세기 폭스 컨텐츠. 해당되는 영화면 최신영화도 많음
  • 넷플릭스에 비해 한국어 더빙된 작품이 압도적으로 많아 애들 보여주기 좋다.
  • 상대적으로 저렴한 이용료. 거기에 더해 카드사등과 제휴를 해서 이것저것 할인 받을 여지도 많다.
  • 디즈니나 픽사의 특별영상이나 단편이 많음.
  • 크롬캐스트 지원.

단점

  • 앱 최적화가 아직 부족하다. 불편한 점도 많고 작동이 버벅인다.
  • 웹사이트도 버벅이는데, 파이어폭스를 쓰면 몇 배로 버벅이는 듯.
  • 검색이 넷플릭스보다 부실하다. “좀비”를 넣으면 좀비물이 검색되는게 아니라 영화제목에 “좀비”가 들어간 것만 검색되는 식. 그리고 같은 검색어인데도 해당 영화가 안나오다가 다음날에는 나오기도 하고 뭔가 오작동하는 경우가 있다.
  • LTE 데이터로 스트리밍을 하면 내내 저해상도로 재생되는 경우가 많다. 모바일 데이터 사용시 넷플릭스는 데이터 사용을 최대로 설정할 수 있지만 디즈니+는 데이터 사용을 최소로 설정하는 것과 자동만 있다.
  • 10초 전후로 이동이나 원하는 지점으로 이동할 때도 버퍼링이 몇초 걸리고, 처음 재생할 때도 넷플릭스보다는 좀더 버퍼링이나 버벅임이 걸린다.
  • 오프닝이나 다음화로 건너뛰기가 없거나 애매하게 작동함. 넷플릭스에서는 이게 편했는데.
  • 자막 번역이 개판인 경우가 많다. 내가 들어도 오역인게 확실한 경우도 있고, 아예 생략해 버리거나, 비꼬거나 농담인 말을 일반대화처럼 번역하거나.
  • 해외 디즈니+에는 있는데 한국엔 없는 영화가 은근히 많다. (나중에는 개선될지도)
  • 모바일 기기에서 넷플릭스처럼 다운로드해서 나중에 보는게 가능한데, 생각보다 다운로드가 느리다. 1GB 다운받는데 1시간이 넘게 걸림.
  • 뽀로로가 없다. 뽀로로나 띠띠뽀, 신비아파트 같은 국내 유명 애니메이션이 넷플릭스에는 있지만, 디즈니+에는 없다. 뽀로로는 IPTV필수 컨텐츠라며 광고할 정도이니 단점은 단점.
  • 앱에서 영화 소개글이 아주 성의가 없다. “주인공 A와 주인공 B가 만나서 싸운다” 이런 수준.
  • 스파이더맨이 없다. 이건 소니라서, 넷플릭스에 있다.

결론을 내보자면 기본적으로 컨텐츠는 좋은데 서비스 완성도가 별로이고, 한국화가 부족하다.

화미 어메이즈핏 GTS2 미니, 가성비는 좋은데 기본적인 문제가 있는 스마트워치

천원짜리 스크린 보호 필터 붙인 모습

아래 사용기는 펌웨어 1.0.2.47 기반이다.

장점

  • 가성비. 6만원대 구입 가능. 10만원 이하 스마트워치 중에는 최강.
  • 디자인이 싼티가 크게 안나고 예쁘다.
  • OLED 화면 품질이 좋다.
  • 가볍다. 스트랩 제외 무게가 20g인데, 이거 페블타임스틸에 비하면 1/3무게. 애플워치랑 비교해도 가볍다.
  • 배터리가 오래 간다. AOD등 옵션 다 켜도 5일. 옵션을 조절하면 10일정도 사용 가능. 다 끄면 정말 스펙대로 14일 갈듯. 20분만 충전하면 20%이상 차기 때문에 하루에서 이틀 쓴다.
  • 20mm 표준 시계줄 줄질 가능. 이거 엄청난 장점이다.
  • AOD. 저가형 스마트워치에서 AOD 제대로 되는 제품이 흔치 않음.
  • 산소포화도 측정. 이것도 고급제품에서 되는 기능.

단점

  • 디자인이 얼핏 보면 애플워치. (이건 장점인가? ㅋㅋㅋ)
  • 내구성이 약하다고 한다. 특히 유리가 그냥 듣보잡 강화유리라 기스가 잘 난다는 이야기가 있다. (일단 10개월 써도 딱히 기스는 안생김)
  • 진동 모터가 약함. 강함으로 놔도 잘 못 느낄 때가 많다. 페블타임스틸에 비하면 1/3 강도.
  • 기본으로 탑재된 시계줄이 완전 싸구려 느낌이다. 천원짜리 아동 장난감 시계 느낌. 다만 기능적으로는 나쁘지 않아서 고정은 잘 되고 튼튼하다.
  • 사실 이런 20만원대 이하 스마트워치는 모양만 스마트워치인 스마트밴드라서 추가 앱 설치가 불가능하고, 탑재된 기능만 사용이 가능하다.
  • 워치페이스를 4개만 저장할 수 있고, 그 중 2개만 변경 가능하다.
  • 공식 스토어에 있는 워치페이스가 60여개 정도로 적다. 공식 개발툴은 개인정보를 등록해야 하는데다 아직 서드파티 와치페이스 제작툴이 없어서 그런 듯. 몇몇 앱이 추가적인 워치페이스를 다운로드 할 수 있는데 그마저도 많지 않다.
  • 손 들어올려 화면 켜짐이나 알림 등을 특정시간에만 작동하게 할 수 있는건 좋은데, 그 시간설정을 요일별로 할 수는 없다.
  • 일부 메뉴 한글 번역이 무척 이상하다. AOD가 ‘시계계기판 끄기’라거나. 샤오미 계열 특성상 안고칠듯.
  • 날씨 정보가 엉터리다. 기온도 몇도 차이나고, 풍속도 안맞고, 비가 잔뜩 오거나 밤인데 UV가 매우 강하다고 나온다던지. 데이터 소스가 어딘지 궁금.
  • 다른 메뉴는 순서 변경이 무척 편한데, 운동 종류는 순서를 바꿀 수 없어서 자주 하는 운동이 메뉴 아래에 있으면 빠르게 접근하기 불편 할 수 있다.(운동을 자주 하면 해당 운동 메뉴가 상위 정렬)
  • GTS2 mini의 초가 스마트폰 시계의 초보다 느리다. 내 경우 0.7초 정도 느린데 3초 이상 느리다는 사람도 있다. 그리고 이것을 수동으로 수정할 방법이 없다.
  • 4~5m이상 스마트폰과 멀어지면 연결이 끊긴다. 페블타임스틸은 10m정도라 거실에 폰을 두면 집안 어디든 연결되어 있었는데, GTS2 mini는 거실내에서도 끊긴다. 연결이 유지되는 거리가 너무 짧은 느낌이다. (1.0.3.70에서 수정됨)
  • AOD를 사용하면 전화가 왔을 때 2,3초 정도 전화가 온것을 알려주고 꺼져 버리는 버그가 있다.(1.0.2.53에서 수정됨)
  • AOD를 사용하면 전화 수신 알림이 30초~1분 정도 늦게 울린다.
  • AOD를 사용하면 가끔 버튼을 눌러도 시계화면이 켜지지 않거나, 알람이 1초정도 울리다가 멈추는 등 자잘한 버그가 있다.
  • 워치페이스를 제작할 수는 있는데, 화미 홈페이지에서 개발자 등록을 해야 한다. 개발자 등록은 신분증을 들고 있는 본인 사진을 제시해야 해서 개인정보 문제가 있다.(간단한 해킹으로 등록만 하고 신분증은 제공하지 않고 사용 가능하긴 함) 또한 화미 홈페이지의 개발툴 자체가 버그가 상당히 많다.
  • 손 들어올려 화면이 켜지는 것이 대략 1초정도 걸리는데, 아주 나쁜 수준은 아니지만 아무래도 고급 스마트워치보다는 확연히 느리다.
  • 그 손 들어올려 화면 켜지는 반응속도도 일정하지 않고 여러 조건에 따라 더 느려진다. (리부팅 막 하고 나면 손만 살짝 돌려도 반응할 정도로 예민하고 빠르다가 시간 지나면 둔해지고, 워치페이스가 무거우면 더 느려지고, 시계가 20여분 이상 화면을 켠적이 없다가 손을 들어올리면 더 크게 액션을 해야 반응하고 등등) -> 최신펌웨어에서는 완전하지는 않지만 큰 차이가 나지 않은 정도로 개선되었음

유튜브나 커뮤니티에는 안사면 손해인 가성비 스마트워치로 소문이 나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추천하기 힘들다. 이유는 위에 쓴 ‘손 들어올려 화면 켜지는 반응속도가 일정하지 않고 여러 조건에 따라 더 느려지는’ 문제 때문이다.

시계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신뢰성이 있어야 한다. 내가 손목에 차고 있으면 신경 안써도 작동하고, 쳐다보면 바로 보이고. 그런데 그게 이랬다 저랬다 한다? (게다가 요즘 시계 답지 않게 초침도 오차가 있다.)

이 문제의 회피 방법은 AOD를 켜는 방법 밖에 없고, 이 경우 배터리 사용시간이 10일 정도에서 5일정도로 절반으로 감소한다. 원래 AOD를 쓸 계획인 경우는 큰 문제가 없지만, 배터리를 오래가고 싶어서 끄고 싶은 사람은 시간 확인이 불편해진다. AOD를 켜면 잡다한 문제가 생기는 것도 덤. 나 처럼 돈들여 산 제품이 어딘가 문제가 있으면 고치고 싶어 신경쓰이는 사람은 더 스트레스이고.

결국 기본적인 문제가 있어서, 이걸 추천할만한 제품이라고 하기엔 뭐하다. 내가 만족 못하는데 남에게 추천할 수는 없으니까.

ps.
AOD를 안쓰고 화면이 켜지는 것을 되도록 빠르게 하기 위해 내가 사용하는 설정.

  • 최대한 기능이 적고 용량이 적은 워치페이스를 사용한다.
  • 2개의 워치페이스 저장 공간을 최대한 비워둔다. 1개를 사용한다면 최소한 1개는 비워둔다.
  • 화면 밝기는 자동 조절을 끈다.
  • 주기적으로 리부팅 해준다.

현대카드 웨더

[플레이스토어 링크]

한달 전에 이틀 정도 쓰다가 지운 날씨 앱.

요약하면 심플하고 디자인은 최고인데, 설정할 수 있는게 없고, 버그가 많다.

장점

  • 심플한 디자인. 현대카드 스럽다.
  • 테마를 13가지 중에 고를 수 있는데 전부 예쁘다.
  • 첫 화면에 날시, 온도, 어제와 온도 차이, 주요 기억할 점 등이 간단하게 문장으로 표시.
  • 왼쪽으로 스와이프 하면 어제와 비교, 오른쪽은 온도 단위 설정, 아래로 스와이프하면 새로고침, 위로 올리면 상세 날씨 정보. 사용성이 좋다.
  • 위젯에 자잘하게 애니메이션이 들어갔는데 다른 정적인 날씨 앱보다는 심심하지 않아 좋다.
  • 해외 날씨도 지원한다.

단점

  • 몇초간 먹통이 되거나 터치를 씹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 위치를 추가/삭제하거나 위젯을 추가하거나 등등
  •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는 옵션이 없다. 온도 단위 정도.
  • 위젯이 4가지 있는데, 2가지는 똑같다. 왜 4개지…?
  • 위젯은 현재 위치로만 설정이 가능하다. (가산에 있는데 왜 맨날 광명이래…)
  • 위젯이 크기만 다르고 내용이 너무 똑같다.
  • 위젯 애니메이션이 가끔 부자연스럽게 깜빡인다.
  • 위젯을 눌러 실행하면 가끔 검은 빈화면만 나온다.
  • 코로나19 상황이라 앱 내부나 위젯에 계속 마스크 쓰라고 한줄씩 나오는데, 의도는 좋지만 거슬린다.
  •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단계 판정 기준이 WHO가 아니라 국내 기준이다.

아트메이트 홀더 샤프 2.0mm

온라인에서 1600원에서 2800원 사이(배송비 별도), 오프라인에서 2500원 정도에 구입 가능.

국산 브랜드이고 메이드 인 코리아라고 스티커가 붙어 있다. 본체와 내장된 HB심 하나. 추가 심은 없음. 본체는 플라스틱 재질이고, 그립부분이 금속재질이다. 약간 가벼운 편이고, 그립부분만 무겁다. 길이는 15cm정도. 노크 부분에 심연기가 있기는 한데 그럭저럭 쓸만하지만, 이런 심연기 쓰면 흑연가루가 손에 묻어날 수 있어서 되도록 안쓸 생각.

장점이라면 다이소에서 파는 2000원짜리 중국산 홀더 샤프보다 노크가 눌리는 느낌이 훨씬 좋다. 구분이 정확하고 적은 힘으로 눌린다.

기본 내장된 HB심은 HB치고는 부드러운편. 진하기가 좀 부족하다.

메이트 인 코리아와 바코드가 적인 은색 스티커가 좀 끈적 거리길래 떼어냈더니, 깨끗하게 떼어지지 않고 접착제가 그대로 남아 있다. 그걸 물티슈로 문질러 닦아 냈더니 닦아지는데, 브랜드명과 제품명이 은색 페인트로 칠해진 부분까지 닦아서 반쯤 지워져 버렸다 -_- 국산인데 왜 이런 부분이 중국산 느낌이냐?

어째튼 국산이고, 싼맛에 사 쓰기 좋을만한 홀더 샤프.

Natural Factors, Travel Biotic® BB536® 100억 살아있는 프로바이오틱스 후기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BB536이라는 단일 비피더스 균만 100억 보장으로 들어가 있는 제품. 연약한 비피더스균 이미지와는 반대로 냉장 보관도 필요없는 여행용 제품이라고 한다. 하얀색 식물성 캡슐로 만들어져 있다.

지난 9월에 2병을 3.3만원에 샀다. 한병 다 먹고, 다른 한병도 거의 다 먹는 중.

먹고 나서 방귀에서 냄새가 좀더 강해지고, 변이 좀 더 부피가 생기고 약간 단단해진 느낌이다. 주로 설사가 잦은 나에게는 좋은 변화기는 한데, 가끔은 변이 많이 단단해져서 힘들 때도 있다.

대부분의 프리바이오틱스 제품이 먹어도 효과를 체감하기 힘든데, 변화가 크지는 않아도 있다는 점에서는 좋은 프리바이오틱스이다. 보통은 락토 바실러스 계열보다는 비비더스 계열이 효과가 좋다고는 하는데 이것도 워낙 사람마다 다른거라.

샤오미 8H 메모리폼 베개 H1

샤오미 베개라고 나오는 것들 중에 가장 저렴한 버전. (샤오미가 만든건 아니고 그냥 샤오미 근처에 있는 회사인 듯 ㅋㅋㅋ) 9월 1일에 큐텐에서 3만원에 1+1으로 구매해서 10주간 써봤다.

  • 가성비는 최고이고 전체적으로 무난.
  • 탄성도 적당히 좋고, 크기와 품질도 가격대비 만족스럽다.
  • 바로 누워 자기는 딱 좋은데, 옆으로 자기에는 약간 낮은 편.
  • 처음에는 약간 냄새가 났는데, 심하지 않고, 5일 정도 후에는 없어진다.
  • 포함된 베개보는 1개. 2개 줬으면 완벽했을 텐데.
  • 베개보가 통풍이 잘 되도록 틈이 많은 천을 두겹 겹친 구조이다. 촉감과 통풍은 좋은데 머리카락이 잘 박혀 들어간다.
  • 베개보를 손빨래를 해야 함. 장모님이 모르시고 세탁기에 몇번 돌려 버렸는데, 3번 세탁만에 낡은 느낌이 들 정도로 올이 나간다.
  • 10주간 사용했지만 그 외에는 문제가 없다.

돌돌이 욕조캡 이거 물건이네

작가이자 영화 리뷰어로 유명한 듀나님의 트위터 글을 보고 지른 아이템. 개당 4천원 정도 하고, 카피 제품은 천원대인 것도 있는 듯.

이거 정말 물건이다. 씻고 나서 머리카락에 막힌 욕조 구멍을 보고 귀찮았다면 추천!

그냥 끼워놓고, 막히면 뽑아 머리카락을 쉽게 빼서 버리고 다시 끼우면 된다. 내 똥꼬보다 더 더러울 것 같은 구멍에 손가락 넣고 탐험을 하지 않아도 된다.

대만족.

LG 트롬 스팀 의류 건조기 RH16VTC 사용기

  • 8월에 주문해서 9월에 받고, 한달 정도 사용했다.
  • 163만원정도에 구매. 1등급 가전 환급을 받아 실제 구매가는 147만원 정도.
  • 외관과 크기는 완전히 세탁기와 동일하다.
  • 세탁실 구조가 협소해서 거실에 놓고 사용 중이다.
  • 거실에 설치했기 때문에 진동과 소음이 다소 크게 느껴진다. 밤에는 절대 못 돌릴 정도.
  • 세탁기와는 달리 전체 작동시간동안 최대속력으로 돌리기 때문에 진동과 소음이 더 크게 느껴지는 점도 있다. 건조가 오래 걸리기도 하고.
  • 거실에 설치했기 때문에 물통을 비워야 하는데, 의외로 물의 양이 상당해서 놀라게 된다.
  • 건조 후에 나오는 먼지량도 놀라울 정도.
  • 매번 사용 후 물통을 비우고 먼지통을 청소하는 것이 아주 귀찮다. 세탁기가 사용 후에는 문짝 열어두는 것 외에는 사후관리가 별로 필요 없는 것에 비해 불편함. 물론 빨래를 너는 것에 비하면야 훨씬 낫지만.
  • 가장 불편한 점은 왠만한 건조에 1시간 30분에서 2시간 30분 이상 소모된다는 것.
  • 그래도 수건과 옷을 세탁하고 건조기에 넣고 돌리면 3~4시간이내에 사용이 가능한 점은 좋다.
  • 들인 돈에 비해서 크게 효과 있었는지는 의문이지만, 어째튼 삶의 질은 올려주는 제품이다.
  • 수건의 경우 뽀송뽀송하고 따듯한 결과물이 나와서 무척 만족.
  • 옷의 경우는 천이 줄어드는 부작용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대상이 한정적이다. 성인 남성 면티의 경우는 위아래 길이 기준 3~5cm까지 줄어든다.
  • 이불이나 침대보를 세탁하지 않고 먼지만 털 수 있는 기능이 있는데, 먼지와 머리카락이 모이는 양을 보면 기절할 지도.
  • 한달이나 사용했지만 건조후 결과물에서 새 기계 냄새(기름 냄새라기 보다는 새 차나 새 운동화에서 나는 냄새 같은) 같은게 난다. 처음에는 너무 심해서 수건을 쓰기 꺼려졌을 정도인데 이제는 참을만 해진 정도.
  • 끝났을 때 나오는 알림 멜로디가 세탁기와 완전히 똑같다. 같은 LG라 해도 10년전에 산 세탁기와 구별도 안되는건 너무 전통을 중시하는거 아닌가 ㅋ
  • 스팀 기능은 생각보다 잘 안쓰게 된다. 굳이 필요없으면 기능이 없는 저렴한 제품을 사도 될듯.
  • 주변 권유로 16Kg짜리를 샀지만, 딱히 그렇게 까지 살 필요가 있나 싶다. 수건과 옷만 돌릴 사람은 더더욱 필요없고, 퀸사이즈 침대 이불도 얇은 것만 쓴다면 넣어도 절반도 안찬다. 매뉴얼에는 이불을 넣을 때 한개만 넣으라고 되어 있으니 낭비라는 생각이 든다.
  • 스마트폰 앱과 연동하는 기능도 안써 봄

삼성 디지털도어락 SHP-DP710 후기

18년전 램 이후로 오랫만에 구입한 삼성 제품.

집에서 사용하던 디지털 도어락(아파트 만들 때 기본옵션으로 있던 16년된 제품이다)이 고장나서 교체했다. 왠만하면 삼성것은 사기 싫은데 다른 브랜드는 디자인이 마음에 안들거나 디자인이 마음에 드는 것은 너무 비쌌다. 중소기업 제품들이 저가형 제품을 고가형 제품보다 일부러 싼티 나게 디자인 하는 습성은 좀 고쳐줬으면.

어째튼 지마켓에서 토요일 설치가 가능하다는 곳에서 출장비까지 21만원에 구매. 할인할 때는 더 싸게 팔기도 하는 모양이지만 급하니 그냥 샀다. 기사님이 아주 능숙하게 기존 디지털 도어락을 해체하고 10분만에 설치를 완료하셨다. 별다른 타공이나 보강판은 필요 없었다. (앞집과 아랫집들은 게이트맨 제품을 설치하는데 보강판을 덧대어야 했다)

이 제품의 장점은 비슷한 가격대 제품 중에는 외관이 고급스럽고, 푸시 & 풀로 손쉽게 문을 여닫을 수 있다는 것이다. RFID카드를 사용할 수 있고, 자잘한 보안기능이 있는 것은 다른 제품들과 큰 차이가 없다. 근접 센서로 다가가기만 해도 터치패널을 작동한다는 것 때문에 ‘스마트 도어락’이라고 광고하고 있는데, 네트워크 기능이나 블루투스 핸드폰 연결도 안되는데 스마트라고 하기엔 좀 무리.

푸시 & 풀 방식이 정말 좋은게, 짐을 들고 있거나, 아이 손을 잡고 있을 때, 그냥 밀면 열린다는 것이다. 다시는 돌리는 손잡이 방식을 못 쓸 듯.

단점은 문을 여닫는 소리가 좀 크다. 손잡이를 밀고 당길 때도 크게 철커덕 소리가 나고, 잠길 때도 좀 소리가 크다. 디지털 사운드도 좀 소리가 크긴 하지만 2단계로 볼륨 조절이 가능하고 끌 수도 있고, 평상시에는 켜 놨다가 원할 때만 소리를 내지 않을 수도 있는 기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