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와 광고수입의 단순계산

요즘 왠일인지 변방의 비인기 블로거인 나한테까지 블로그의 광고수익에 대해 묻는 사람들이 생겼다. 물가는 오르고 경제는 불안하다보니 한푼이라도 아쉬운건가? 이런 질문에 일일이 답하기는 그렇고, 돈문제 이야기 하는데 대충 답하기는 그렇고…그래서 간단히 글을 정리해서 일이 생길때마다 보여주기 위해 이 글을 쓴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블로그에 글을 써서 버는 돈이 실제로 일하는 것만큼 보람(?)이 있으려면 얼마나 되어야 할까?
 
간단히 대략적으로 계산해보자. 우선 몇가지 가정을 한다.

  1. 수입은 에드센스만 생각한다. 가장 보편적이니…
  2. 내가 대충대충 글 쓰는데 30분은 걸리니 다른 사람들도 훌륭한 글 한개 쓰는데 한시간은 걸릴것이다.
  3. 블로그에 하루 1시간 걸려 1개의 글을 쓰며, 1시간을 들였으니 하루동안 4천원을 벌면 보람이 있다고 가정하자.
  4. 환률을 앞으로 좀 내려갈거 생각해서 1200원으로 가정하자.
  5. 에드센스의 유효 노출당 비용(eCPM)을 1달러로 가정하자. (eCPM은 1000회 노출당의 비용이다. 구글과의 계약에 의해 본인의 실제 수치를 공개할 수는 없지만 1달러면 중간정도 활발히 들어오는 경우가 될것이다.)

4천원이면  3.4달러이다. 3.4달러를 eCPM 1달러로 계산하면 유효 노출이 3천400회가 필요하다. 즉 3천에서 4천의 유효노출을 확보하면, 시급 4천원짜리의 알바 1시간 뛰는정도의 금전적 보람을 얻을수 있다. 이건 한달에 12만원이고, 매달 100달러의 구글 수표를 받을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만약 전업 블로거로서 수입을 생각한다면? 월급으로 300만원은 벌어야 할테고, 위의 예에서 25배를 벌어야 한다. 4천번의 유효노출회수의 25배는 10만번이다. 10만번의 유효 노출회수를 꾸준히 유지할수 있는 블로거란 우리나라에 얼마나 될까? 가장 유명한 서명덕기자의 블로그가 특별한 이슈가 없다면 5만 내외의 방문자(노출수는 방문자숫자와 좀 다르지만)를 유지하는게 현실이다. 에드센스만으로 전업을 하려면 상당한 노력과 여러 사이트에서 방문자를 모으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게 바로 현실적으로 “블로그로 돈을 벌수있다”라는 말을 할수 있는 조건이다. 실제는 단순계산보다 낙관적일수도 있고 비관적일수도 있지만, 저 정도는 각오를 해야 한다.

미국소고기 100분 토론의 하이라이트

“미국산 쇠고기 안전한가”라는 주제로 100분이 아닌 200분간 펼쳐진 100분토론.

하지만 결국은 찬성측이나 반대측이나 인터넷에 널리 알려진 이야기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 기회가 될뿐이었다. 찬성측은 확률과 통계상의 믿을수 있음을 근거로 하고 있고, 반대측은 100%가 아님에 대한것과 정부에 대한 불신이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입장을 바꾸지 않는 이상 답이 없는 것이다.

그런데 의외의 복병은 시청자 전화에서 나왔다.

어떤 아저씨가 중간에 전화걸어서 대뜸, 뭐하러 그런걸 걱정하냐는 말투로
“삶아 먹으면 되는거 아닙니까?”

….. 순간 싸늘…

손석희씨가 삶아먹어도 안되니까 문제가 되는거라고 설명해주자 그 아저씨는 무려 일반인임에도 엄청난 임기응변실력을 발휘해서 이야기를 바꾼다. 확률이 몇만분의 일인데 무슨 문제냐고, 그리고 주절주절 하다가 별로 색다른 주장도 아니어서 호응이 없는 듯하자 “십만분의 1확률이라도 내가 먹어주겠다!” 라며 오바를 시작했다.

진중권을 비롯한 패널들이 웃기 시작하고, 그 아저씨는 같은말 반복하다 서둘러 전화를 끊었다.

웃으면서 지나치긴 했지만, 이거 참 생각해볼만한 일인것도 같다. 그 아저씨는 분명 미국 소고기 수입에 대해 찬성하는 입장을 가지고 전화를 했다. 물론 그 찬성 근거는 삶아먹으면 된다는 잘못된 지식에 근거했지만 말이다. 하지만 그 근거가 깨졌음에도 주장은 바꾸지 않았다. 자존심 때문이었을까?

사람들은 이미 이것을 정치적인 수준으로 받아들인것 아닐까. 현재의 정부나 정권을 믿는 사람, 혹은 수입에 대해 이익이 있는 사람은 믿는 것이고, 원래 신뢰를 잘 안했거나 위험을 느끼거나 손해인 사람은 반대하고 있는 것이다. 대중의 찬성과 반대는 대부분의 과학이나 의학, 외교등을 면밀히 검토했다기 보단, 더 추상적인 정보나 사회적 믿음, 개인적 이익, 성향에 근거한 것일수도 있다는 것이다.

어째튼 재미있게 돌아간다.

그리고 이번 토론에서 가장 아쉬운 것은….미국 주장을 그대로 대변하는 정부 인사의 주장이었다. 미국은 원래 ‘합리적’으로 돌아가는 나라이다. 그 합리적이라는 것은 단기적인 큰 이득과 작은 손해를 뜻한다. (우리나라는 실용이라고 번역 할지도 모른다) 미국은 우리나라에게도 큰 이득과 작은 손해를 권했다. 그 자체는 나쁜게 아니다. 하지만 그 작은 손해에 대해서도 0으로 만들려고 노력하지 않고 미국식 합리성 자체를 받아들여 버린 정부가, 그 손해에 대해 용서나 대응책을 구하는게 아니라 다시 그 합리성 자체를 국민에게 설득하는, 마치 이미 맹신자가 되어버린 신도같은 느낌을 받았다면 오바일까? 어째서 국민에게 정부의 기준이 아닌 남의 기준을 가지고 설명하는가? 참 한심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