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절에 본 공각기동대 2기 16화

예전부터 공각기동대 2기의 내용에 자주 등장하는, 비핵대전 이후의 반도의 내전, PKF(평화유지군 활동), 난민…이게 무슨 이야기인가 했더니..

16화에 자세한 이야기가 나오는군요.

결국 우리나라 한반도가 남과 북이, 통일이 불안정해서 내전이 생기고, 미국은 경제가 불안정해서 일본이 대신 우리나라에 PKF활동을 했었다는 이야기였습니다.
(한국전쟁때의 미국처럼 애들에게 초콜렛주고 있군요;;)

나중에는 신의주에서 마을사람들 학살하는 인민군 잔당을 무찔러주는 이야기도 나오는데..음..

아무리 한국이 불안정한 상태로 되더라도, 일본군이 평화유지군으로 들어오는건, 한국인의 정서상 상당히 배척받을텐데…
너무 어거지 스토리인듯합니다.

반도(한국)에 출장갔다온 이치카와의 “상당히 근대화 됐더라고…”라는 말까지….

광복절날 보기에는 기분 나쁜 이야기였습니다.

그리고, 쿠제라는 수상을 암살하려다 실패한, 군사용 의체를 장착한 용의자…

제 추측이지만, 소령의 소녀적 첫사랑이었던…종이학으로 인연이 있던 소년인듯합니다.

종의접기라는 매개도 계속 등장하고, 소령의 과거회상하는 에피소드에서, 소년이 PKF활동에 나간경력이 있다고 했었는데, 맞아 떨어지는군요.

젠틀맨리그를 보다.

원제 The League of Extraordinary Gentlemen

원래 숀코넬리 하나 볼려고 본거지만…보긴 봤다. (DVD로)

7명의 유명소설속 주인공이 한영화에 나오는데…

숀 코널리가 연기한 알란 쿼터메인은
1885년 H. 라이더 헤거드가 쓴 『킹 솔로몬의 보물』에서,

페타 윌슨이 연기한 미나 하커는
1897년 브람 스토커의 『드라큘라』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의 드라큘라에서 위노나 라이더가 4.7배는 더 이뻤다)

쉐인 웨스트가 연기한 톰 소여는
1876년 마크 트웨인의 소설 『톰 소여의 모험』
(그런데 왜 하필 스파이냐;;;)

스튜어트 타운젠드가 연기한 도리안 그레이는
1890년 오스카 와일드의 탐미주의 소설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토니 커랜이 연기한 로드니 스키너는
1897년 H.G. 웰즈의 소설 『투명인간』

나세루딘 샤가 연기한 네모선장은
1873년 쥘 베른의 소설 『해저 2만리』

제이슨 플레밍이 연기한 지킬박사와 하이드씨는
로버트 스티븐슨의 1886년작 『지킬박사와 하이드씨』

이렇게 7명의 주인공에다가, 악당은 셜록홈즈의 숙적인 천재 수학자 모리어티 교수다 ㅡㅡ;

그런데, 7명이나 되는 쟁쟁한 캐릭터가 한 영화에 모여서 액션을 펼치는데다, 엄청난 자동차와 노틸러스호, 적의 기관총등 다양한 특수효과가 가미되니….

영화는 그야말로 1 x 7 = 0라는 오합지졸 게임이 되어버린다.

숀코넬리는 자기 캐릭터가 너무 강해서, 쿼터메인 같지도 않고,
나머지는 그냥 액션 몇번 보여주고 끝이다.
네모선장은 소설처럼 리더가 아니라, 숀코넬리의 하인같고,
오히려 지킬박사와 하이드가 더 화끈한 주먹질을 보여줬다.
(톰소여는 왜 나왔는지 의문;;)

게다가 적이라는 모리어티 교수는…똑똑하기는 커녕 도리언이 없으면 아무것도 못하는 바보에 겁장이이고…

캐릭터들이 흡인력이 없고 액션만 화끈한 영화랄까?
(아마 서양놈들은 저 7,8개의 소설중에 한가지는 원작으로 읽었을테니,
캐릭터에 몰입할 수도 있었을지도..)

그냥 한번 화끈하게 지구 스케일로 뻑적지근 놀아보자~~ 이상의 영화는 아니었다.

ps. 총 한발 맞고 죽는 숀코넬리라니…늙었구랴.
나중에 살아날거 같은 폼은 잡았지만…
숀코넬리는 인디아나 존스3때가 가장 멋졌다.

사랑할 때 버려야할 아까운 것들 (Something’s Gotta Give)

발렌타인 데이에 여자친구와 본 영화다. ^^;

이 영화를 보고나면…지금까지 본 애정영화들이 왠지…먼가 왜곡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정도이다.

우리는 우리 스스로를 그대로 두고, 남의 마음을 움직이여 내것으로 만들면 사랑을 이룬다고 생각한다. 한마디로 꼬시는 사랑이고…그게 멋진 능력처럼 보여진다.

하지만…진정한 사랑을 이룰려면 자신을 버려야 한다.
자신이 “나는 머머 한 사람인데…”라는 생각을 버려야만 한다.
자신의 습관을 처음부터 끝까지 바꾸어야한다.
(한국어 제목 정말 잘 지었구만;;;)

그렇다고 심각한 영화는 아니다.
상당히 웃겨서 주제를 파악하지 않아도 잼있다.(이게 이 영화의 가장 큰 문제점이다.ㅋㅋ)

ps. 잭 니콜슨의 능청스런 연기는 정말 끝내준다. 덕분에 키에누 리브스는 그냥 조연답게 찌그러져 버렸다.;;;

(잭니콜슨이 심장마비에 걸리고 키에누 리브스에게 간건 정말 현명한 일이다. 그는 심장마사지로 죽은 애인도 살린자 아니었던가!;;;)

다이안 키튼 할머니는…60살 할머니의 노출신을 보여주는게 좀 눈을 버리지만;; 60세에 그정도면 몸짱 할머니시라고 위로를 드리고 싶다;;;
(저 포스터에는 30대처럼 나오시는구만;;;)

외국 포스터에는 잭니콜슨과 다이안 키튼만 나오는데….
우리나라 포스터에는 4명으로 늘어난건…
왠지 노인네들만 있으면 재미없어 보일까바 키에누 리브스를 끼워넣으려고 했던거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