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덤 프로젝트(The Adam Project, 2022)

넷플릭스에서 새로 공개한 라이언 레이놀즈 주연의 영화.

배우들이 배우개그하기 딱 좋은 구성이다. 아들은 데드풀, 엄마는 엘렉트라, 아빠는 헐크, 아들의 아내는 가모라 ㅋㅋ

영화는 기본적으로 백투더퓨처2를 오마주하고 있다. 미래에 시간여행을 악용해 과거의 자신에게 정보를 제공한 악당, 그 악당을 막으려는 시간여행 발명자와 주인공. 특이한 점은 주인공이 한 명인데 두 명이라는 것. 현재의 애덤과 미래의 애덤이다. 그 둘이 티격태격하며 웃기고 스스로를 되돌아보고 발전하는 것이 메인 볼거리이다.

시간여행을 다루고 있지만 백투더퓨처 이상으로 복잡하게 만들거나 시간선을 꼬아 놓지 않는다. 단순하게 현재 미래 과거 세가지만 나오는 심플함과 거기에 잘 섞인 라이언 레이놀즈의 유머가 이 작품의 장점이다. 1시간 40분의 짧은 러닝타임에도 영화는 잘 마무리 된다.

단점은 너무 단순화해서 타임 패러독스를 대놓고 무시한다는 것. 내용상 양자 어쩌구 하며 합리화 하는 멘트 하나로 마무리한다. 그 외에도 SF팬으로서는 아쉬운 점이 좀 있다. 그리고 너무 뻔한 미국식 가족애로 끝나는 것도 좀 아쉽.

특수효과와 액션은 아주 많이 나오지는 않지만 꽤 볼만하다. 마지막 가속기는 너무 번쩍거려서 대놓고 CG스럽지만.

내 평점은 별 4.5개. 넷플릭스 사용자라면 시간 죽이기용으로 적극 추천.

ps. 영화가 처음부터 백투더퓨처 오마주인걸 대 놓고 밝히는 장면. 개 이름이 호킹이다. 백투더퓨처에 나온 박사의 개 이름은 과거에 코페르니쿠스이고, 현재에는 아인슈타인이었다.

넷플릭스 위쳐 시즌2

시즌2는 시즌1에 비해 진행도 시간 순이고, 게롤트와 예니퍼, 시릴라의 셋이 뭉치게 되는 이야기인데다 베스미어 캐릭터도 멋있고 해서 더 재미있었다. 특수효과도 좀 더 돈을 들였는지 시즌1보다 더 자연스러워졌고 섬세해졌다.

다만 이렇게 진행해서 시즌 몇까지 가야 이야기가 끝을 볼 수 있을까 싶다.

시릴라 역의 배우와 다라 역의 배우 등, 시즌1에는 분명 소년 소녀였던 배우들이 이제 다 커서 어른이 되어 버렸다는 것도 조금 애매.

나름 인기 시리즈가 되었는지 양자경이 나오는 프리퀄 스핀오프도 나온다는데 과연 잘 될까 싶다. 양자경은 이제 스타 트렉, 마블, 아바타, 위쳐…등등 시리즈물에 안나오는 데가 없구나

샌 안드레아스(San Andreas, 2015)

헐리우드식 재난영화. 국가 수준의 지진이 일어나 도시가 박살나고, 구조 전문가인 주인공은 사람들이 아니라 가족들을 구하기 위해 바쁘다. 미국 답게 가족관계는 파탄이었는데 이 기회에 복원. 지진을 미리 예측한 과학자라던지 재난 영화에 나올 클리세를 아주 풍성하게 넣어놓았고, 특수효과도 상당히 좋다. 개인적으로 특수효과는 2012보다 더 현실감이 있었다. 그리고 그 모든 재난을 이겨내는 합리성은 드웨인 존슨의 근육이 만들어낸다.

딸 역할의 알렉산드라 다다리오가 아주 예쁘게 나온다. 퍼시잭슨 시리즈에 나왔을 때보다 더 예뻐진 듯. 특히 눈 색깔이 아주 만화 캐릭터 같다.

너무 전형적인 것들이 다 모인 영화이지만, 편의점 도시락처럼 다 중간이상은 가기 때문에 보면서 시간 보내기 좋은 영화이다. 내 평점은 별 3.5개.

힐다, 산속의 왕과 마주치다(2021)

힐다 시즌2와 이야기가 이어지는, 마지막 에피소드. 이걸 극장판처럼 설명하는 리뷰어가 많지만, 1시간 20분정도의 러닝타임으로 매우 짧고, 그림 수준도 원래 시즌 1,2와 똑같은데다, 이야기가 바로 시즌2와 이어지기 때문에, 특별 피날레 에피소드 2개 분량이 더 만들어졌다고 보면 된다.

전쟁론자인 경비대 대장이 빌런의 역할인데, 결국 트롤의 눈을 경험해 보고나서야 생각이 바뀌게 되는 것이 허무하고 단순하지만 힐다 다운 해법이었다. 현실에서도 그렇게 한방에 서로를 알게 해주는 아이템이 있다면, 많은 갈등이 해소될텐데.

이제 개성넘치는 힐다의 모험은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 분명 자라면서 더 많은 사고를 칠텐데, 못 보는게 너무 아쉽다.

블러드샷(Bloodshot, 2020)

딱히 새로운 것이 없는 빈 디젤식 액션 영화. 그러니까, 빈 디젤은 영화마다 무적의 전투력을 가진 인물로 나오는데, 이 영화에서는 울버린급 이상의 힐링 능력까지 가졌다. 하하하하…악당이 불쌍하네. 패널티로는 기억을 조작 당해서 이용당하다 그 사실을 깨닫는다 정도. 뻔하고 뻔한 이야기이다.

그럼에도 CG와 액션은 무척 볼만하다. 그 뿐 이라서 문제지만.

개인적으로는 빈 디젤 표 액션 영화를 좋아하지만, 이대로는 너무 먹던 것 또 먹는 게 아닐까 싶다.

개인적 취향으로 추가 점수를 줘서 평점은 별 3개.

요즘 보는 넷플릭스 애니메이션들

아케인.

LOL의 몇몇 캐릭터의 배경스토리를 다루는 것 같은데, LOL은 안해봐서 모르겠지만 몰라도 재미있다. 그림체도 마치 “러브, 데스 + 로봇”의 “무적의 소니” 에피소드 느낌이 조금 나는 3D+페인팅 느낌이다.

다만 사회계층 + 정치 + 흑화되는 이야기는 별로 좋아하는 부분이 아니라서 애매.

은밀한 회사원

음모론 총집합 코미디 애니메이션. 릭 앤 모티를 좋아했다면 꼭 보기를.

이누야샤

보고 싶었지만 이래저래 못 본 건데 떴네?

케이트(Kate, 2021)

영화 악녀 같은 미녀의 킬러가 개인적인 사연을 가지고 다수의 적을 상대로 무쌍을 찍는 액션 영화. 넷플릭스 제작.

영화 수준도 딱 악녀와 같은 수준이다. 주인공은 훤칠한 미녀이고, 개인적인 사연이 있지만 중요하지 않고, 일대 다로 싸우고. 약간의 반전과 배신이 있고…

서양 킬러가 일본에서 활동하는 이유도 딱히 모르겠고, (아마 오리엔탈리즘이 반, 칼질로 싸울 수 있는 야쿠자가 있는 것 반 일듯.) 러시아 푸틴 대통령이나 쓸수 있을 희귀한 폴로늄 방사능 물질을 굳이 주인공 하나 죽이려고 쓰는 것도 이해가 안가는 설정. 붐붐 레몬도 좀 ㅋㅋㅋ

악녀보다 나은 점을 굳이 찾으라면 액션에서 굳이 볼거리를 위해 오버하는 연출을 하지 않았는 것과, 조연인 미쿠 마티뉴가 꽤 어울리고 연기나 외모나 여러모로 좋았다 정도.

고생한 메리 엘리자베스 윈스티드와 미쿠 마티뉴 덕분에 별2.5개 줌. 그거 아니라면 별 1.5개짜리 영화.

ps. 반감기가 3.5시간밖에 안되는 폴로늄 204를 보관하고 있다가 암살하는게 가능한가는 둘째 치고, 일본 병원은 폴로늄 204인것도 금방 알아낼 정도로 방사능 물질 검출에 능한가 ㅋㅋㅋ

슈퍼배드 3 (Despicable Me 3, 2017)

넷플릭스에 떴길래, 우리 막내 아들이랑 감상.

1편이 악당 그루가 딸들 얻고, 2편이 아내를 얻고 악당에서 악당잡는 요원으로 변경한 것이라면 이미 완전체 가족이 되었기 때문에 딱히 쓸만한 이야기가 없다. 그래서 그런지 3편은 캐릭터 추가. 라이벌 악당 브랫이 추가되고, 몰랐던 쌍둥이 드루가 추가되고, 미니언즈는 악당을 그만둔 그루 때문에 욕구 불만이 되서 그루를 떠났다. 참신함이라고는 전혀 찾을 수 없는 전개랄까.

덕분에 이야기가 산으로 가는 듯 하지만 의외로 적당히 잘 마무리. 여러 깨알 재미를 잘 엮는 실력도 여전해서 웃긴 장면도 많다.

개인적으로 가장 불만은 한국어 더빙인데, 드루를 비롯해 드루의 섬 사람들이 시골이라고 코메디용 억지 외국어식으로 더빙을 해놨다. 그래서 무슨 말을 하는지 알아 들을 수가 없는 경우도 있고, 듣기에도 기분이 나쁘다. 영어 더빙도 그런지는 안봐서 모르겠고.

내 평가는 별3개. 개그 장면과 귀여운 캐릭터들만이 남은 시리즈.

위시 드래곤(Wish Dragon, 許願神龍, 2021)

넷플릭스에 새로 올라온 3D 애니메이션. 중국 회사가 만들고, 소니가 배급하고, 온라인은 넷플릭스에서 유통하고, 제작은 성룡이고, 스텝은 미국쪽이다. 그래서 그런지 캐릭터가 오버더문 처럼 중국식과 디즈니식의 짬뽕.

내용은 전반부는 그냥 중국식 ‘알라딘’이고, 후반부는 조금 다른데 그래도 전체적으로 착한 주인공이 신에게 도움을 받아 행복하게 산다는 전래동화의 틀을 가지고 있다. 참신함은 떨어지지만, 캐릭터 디자인도 좋고 나름 자동차 추격신과 무술 대결도 나오고 해서 적당히 재미있게 보기 좋다.

주인공의 미국쪽 성우는 한국계 존 조가 맡았는데, 나는 한국어 더빙 버전으로 봐서 잘 모르겠다. 한국어 더빙 성우는 다음과 같다. (이 분들 넷플릭스 전담 성우진인가 자주 나오시네)

내 평가는 별 3.5개. 짝퉁 혐의를 아슬아슬하게 벗어난 그럭저럭 괜찮은 작품.

기생충 (Parasite, 2019)

넷플릭스에 기생충이 올라와서 감상. 워낙 영화를 편식하기 때문에 봉준호 감독 영화도 옥자 이후에 오랫만에 봤다.

봉준호 감독 답게 쉽게 쉽게도 볼 수 있고, 분석하면서 볼 수도 있는 대단한 연출 + 약간의 무리있는 캐릭터도 소화해 내는 송강호의 연기력 + 블랙코메디 + 치밀한 복선 + 기타등등.

재미있으면서도 불편한 영화다. 괴물이나 옥자, 설국열차에서 계급간의 갈등과 혁명을 다뤘다면, 이 영화의 경우는 낮은 계급의 사람들의 악랄함과 수준낮은 자존심, 근거 없는 상류층에 대한 존경, 그리고 자기들끼리 싸우다 망하는 것까지 적나라하게 묘사한다. 물론 상류층의 품위 있어 보이면서 보이면서도 유치함과 얄팍함까지.

가장 흥미로운 캐릭터는 기우의 친구인 민혁이다. 그냥 지나가는 캐릭터 같지만 저 영화에서 가장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캐릭터이다. 그냥 착한친구1로 해석할 수 있지만, 대화 내용을 보면 부자 사모님과 바람난 것일 수도 있고, 그집 딸과 사모님 다 노리고 있는 것 일수도 있고, 그집 딸을 노리기 때문에 믿을 수 있는 친구에게 과외자리를 넘긴 것일 수도 있고, 겉보기와 달리 그 친구를 무시하기 때문에 이용해먹으려 과외자리를 넘긴 것일 수도 있고.

뭐 이 영화에 정상적인 캐릭터는 없는 것 같지만.

전세계 상을 휩쓸 자격이 있는 영화이다. 봉준호는 정말 스필버그 이상의 천재이다. 다만 내 취향과 너무 반대쪽에 있는 영화라서 감점. 별 4.5개

그런데 영화 영어제목이 왜 Parasites가 아니라 Parasite일까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