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디 플레이어 원(Ready Player One, 2018)

오랫만에 극장에서 본 스필버그 영화. 마블과 디즈니 보느라 소홀했던 것 죄송.

80년대부터 영화, 애니, 게임을 즐겨 온 사람들에게는 최고의 추억팔이 영화. 추억팔이만 하는 것이 아니라 재미도 훌륭해서 스필버그 할아버지 아직 건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몇몇 주역급(아이언 자이언트, 건담, 처키 등등)을 제외하고는 추억의 캐릭터들이 까메오로 지나가는 정도가 대부분이고, 캐릭터들의 개성이나 능력을 살리는 경우도 흔치 않다는 것. 하긴 능력을 다 쓰면 지나가던 스파르탄 한 부대로 적들 다 해치웠겠다. 결말이나 문제 해결이 평이하다는 이야기가 많던데, 오락영화가 그 정도면 준수하다고 할 수 있겠다. 다만 결말이 억지 감동까지도 아닌데 주인공이 쌍눈물 줄줄 흘리는 장면은 좀….

영화의 주제 중 하나인, 현실과 가상의 균형이나, 작품을 만든 사람을 기억해 달라는 것, 이기기보다 작품 자체를 즐기라는 것 등은 아마 영화 창작자인 스필버그 개인이 하고 싶은 말이기도 한 것 같다. 주인공을 통해 덕질 하느라 단순히 데이터를 줄줄 외우기보다 그 사람의 정신을 이해해 달라는 것도 포함.

어쩌다보니 올리비아 쿡 영화는 처음 봤다. 벤 멘덜슨은 왠지 로그원과 역할이 겹쳐 보였다.  마크 라일런스 아저씨도 반갑.

 

ps. 이수 메가박스에서 봤는데, 리뉴얼 공사 중이라 영화를 보는 내내 드릴, 망치질 소리가 계속 들렸다. 당분간 이수 메가박스는 가지 말아야지.

ps. 마눌님이 재밌다고 하시더라. 그리고 여주인공은 예쁘고 남주인공은 못 생겼다고….응? 타이 셰리던은 좀비 서바이벌 가이드를 봐서 이미지가 안좋아 진 것일지도 ㅋㅋ

ps. 영화의 진짜 교훈. 비밀번호 써서 붙여 놓지 말라.

인사이드 아웃(Inside Out, 2015)

사춘기 청소년의 내면과 갈등을 작품에 표현하는 방법은 많이 있겠지만, 그걸 전체관람가가 가능한 재미있는 애니메이션으로 만드는 방법은…바로 이 인사이드 아웃 뿐 아니었을까? 싶은 애니메이션이다. 우리 몸의 장기나 마음을 의인화해서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학습만화나 여러 매체에서 사용하는 방법이지만, 그 것만으로 장편 애니메이션을 만들다니, 대단하다고 할 수 밖에.

그리고 보는 사람을 울리고 웃긴다. 빙봉의 희생이나 슬픔의 중요성을 깨닫는 장면 등, 여러 감동이 있다. 웃기는 장면은 백 개는 될 듯 하다. 특히 머리속 감정의 세상은 가상의 공간이라 마음껏 만화적 연출이 가능해서, 많은 재미 거리를 보여준다.

부모라면 꼭 봐야하는 애니메이션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이 애니메이션의 줄거리가 라일리의 마음이라는 것이 라일리 마음대로 되는 것이 아니라는 내용이다. 부모 입장에서는 더 생각하고 배려해야 하는 부분이다. 라일리 부모의 마음속을 보여주는 것이 또 다른 재미 ㅋㅋㅋㅋㅋ

미루고 미루다 구글 무비에서 대여해서 봤는데, 가족들이 다시 보고 싶다고 하는 애니라서 아예 구매해야 하나 고민 중이다. 더빙 수준은 꽤 괜찮은 편이지만 구매는 되도록 자막판을 구매하고 싶은데.

ps. 우리 따님이 빙봉의 노래를 외우고 다닌다….

스티븐 호킹이 세상을 떠났습니다.

제가 스티븐 호킹을 알게 된건 1990년에 ‘시간의 역사’ 책을 사면서 였죠. 당시 제 능력으로는 그 책의 절반도 이해 못 했지만(절반은 이해 하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그냥 아는 척 했을 뿐이겠죠), 그 때 블랙홀은 그다지 검지 않다는 호킹 복사를 접하고 충격이었던 기억이 납니다.

그 후에 스티븐 호킹을 보게 된 것은 스타트렉 TNG 시즌6에서 까메오로 출연하신 것을 본 것입니다. 처음에는 다른 배우로 재현을 깜쪽같이 했나? 저 몸으로 어떻게 미국 드라마에 출연하지? 하고 생각했는데 진짜더군요. 그리고 여기 저기 드라마나 다큐멘터리에서 의외로 자주 뵐 수 있어서 안심이었습니다. 항상 ‘저 양반 몸이 저래서 일찍 죽으면 어쩌지’하는 불안감이 마음 한켠에 있어서 어디든 모습이 나오기만 하면 그가 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반가웠거든요.

하지만 이제는 세상에 없으시군요.

스티븐 호킹은 장애를 이겨내고 인간이 탐험하지 못한 영역을 탐구한, 인간 승리 그 자체였습니다.

명복을 빕니다.

ps.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세상을 떠나고 300년 주년에 태어나서, 아인슈타인 생일에 돌아가셨군요. 우연일 뿐이지만 왠지 의미를 부여하고 싶어지는 인물입니다.

마이 리틀 자이언트 (The BFG, 2016)

오랫만에 스티븐 스필버그가 후크가 연상되는 동심 가득한 영화를 만들었다. 한편의 동화를 그대로 고해상도화 시켜 옮긴 듯한 영화이다.

스케일이 크지도 않고, 현실적이지도 않고(특히 영국 여왕이 그렇게 군대를 다룬다는 점을 보면 ㅋ), 어른들이 보기엔 유치하지만, 정말 동화적으로 모든 것을 잘 묘사해 놨다. (그 와중에 등장하는 군인들의 무기나 헬기 기종으로 영화의 시대 배경이나 추측하려는 나는 썩은 듯) 3D그래픽이 과도하게 들어갔지만, 거인의 모션캡춰나 표정 처리도 괜찮고, 동화적인 내용이기 때문에 어색하지 않다. 넷플릭스에 한국어 더빙도 같이 서비스 중이어서, 아이들에게 보여주면 좋을 듯 하다.

그런데 뭔가 마케팅을 잘 못 한 듯한 영화다. 원작의 이름인 BFG는 주인공이 친한 거인을 부르는 애칭인데, 그걸 ‘마이 리틀 자이언트’라고 옮겨 놓은건 뭔가 이상하다. 게다가 등장하는 곳이 고작 런던의 작은 동네+궁전+자이언트 섬 정도인데 ‘세상은 더 거대해진다’라고 뭔가 스케일이 큰 모험 같이 설명하지 않나. 그래서 그런지 스필버그 답지 않게 망해 버린 듯.

하지만 요즘 같이 거대한 스케일과 아크로바틱한 액션만 난무하는 영화계에 이런 소소한 재미를 주는 영화가 있다는 건 다행이다.

배우들은 저메인 클레먼트와 레베카 홀, 퍼넬러피 윌턴은 알겠는데…나머진 잘 모르겠다. 장르만 좀 바뀌면 배우들을 별로 모르는 거 보니, 내 영화 식성이 역시 편식이 심한 듯.

ps. 원작 동화가 있는 걸로 아는데 안봐서 재현도는 잘 모르겠다.

ps. 스필버그가 디즈니와 같이 만든 유일한 작품 아닐까 싶다. 그런데 디즈니와 앰블린 말고도 여러 회사로고가 영화 처음에 지겹게 나옴.

ps. 7살 따님은 거인 나오자 마자 무섭다고 안보네…

구글 Gboard 7.0.2 키보드 베타 한글 입력

지난 2월 21일 구글 Gboard 키보드앱이 드디어 한글 입력 기능을 추가했다. 7.0.2 베타 버전에서 추가되었으며, 현재는 7.0.3까지 버전업 했다.

한글 입력은 두벌식, 단모음, 10키, 손글씨를 지원한다.

자음오류 자동 수정이 아직 완벽하게 작동하지는 않는 듯 하고, 일부 기종에서 두벌식 입력시 쉬프트키를 이용해 쌍자음을 입력하면 자음이 분리되는 현상이 있다고 한다.

Gboard의 특징은 키보드상에서 바로 구글 검색, GIF나 이모티콘등 을 해서 검색 결과를 입력부분에 삽입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언어도 실시간 번역해서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영어 번역을 켜놓고 ‘안녕’이라고 타이핑 하면 ‘hello’가 입력된다.  여러 언어를 한개의 키보드 앱에서 쓸 수 있다는 것은 덤. (사실은 여러 언어 버전의 앱을 설치해놓고 스위칭 하는 느낌이지만)

 

개인적으로 구글 단모음 키보드를 사용하지 못했던 이유가, 폰과 태블릿에서 단모음 키보드 레이아웃이 다르게 나와서 였는데 이 부분은 개선되었다.

폰에서의 단모음 레이아웃
태블릿에서의 단모음 레이아웃

그런데 이번에는 영문 자판이 레이아웃이 다르다.

폰에서의 영문 쿼티 레이아웃
태블릿에서의 영문 쿼티 레이아웃

 

그리고 영문 자판 중에 PC레이아웃이 있는데 이게 태블릿에서는 특수문자와 탭키까지 PC와 동일하게 나와서 터미널이나 소스 코딩할 때 유용하다.

공각기동대 신극장판(攻殻機動隊 新劇場版, 2015)

공각기동대 신극장판은 “공각기동대 ARISE” 시리즈를 마무리, 요약하는 극장판 애니메이션이다. 그래서 스토리, 설정이 공각기동대 ARISE에서 이어지며 공안9과가 창설되는 과정을 다룬다.

그리고 원작 만화의 시작이 바로 공안9과 창설이기 때문에, 절묘하게 원작만화의 시작부분을 오마쥬하며 끝을 낸다. 원작 만화 팬들에게는 큰 선물일 듯.

그 외에는 좀 애매한 작품이다. 일단 공각기동대에 대해 많이 알고 있다 해도 프리퀄인 공각기동대 ARISE를 보지 않으면 많은 부분이 이해할 수 없는 작품이다. 봤다고 해도 공각기동대 ARISE에서 바뀐 설정(캐릭터의 성격이 다르거나, 독자적인 악당 캐릭터와 배경 등)이 기존 시리즈와 많이 다르다. 아무리 고스트니 의체니 중얼중얼 거려봐야 ‘내 공각기동대는 이렇지 않아’라는 느낌이 여기저기 느껴지는 수준.

기본적인 스토리도 왜 저 캐릭터가 저런 짓을 했는지 당위성이 없다. 매번 할 수 있으니까 했다는 느낌이 강하다. 그건 악당 범죄자도 그렇고, 주인공의 조력자도 그렇다. 인형사 떡밥을 좀 깔아 놓는 것 같지만 그 외에는 없다. 좋은 소재를 인물과 스토리에서 받쳐주지 못하고 ‘멋지지?’ 하며 소모하는 느낌이다.

역시 공각기동대 ARISE 시리즈와는 나는 안 맞는다.

낙원추방(楽園追放, 2014)

꽤 전형적인 일본 애니메이션이다.

신인류, 구인류, 인간의 정의, 사회 시스템에 대한 심각한 척하지만 왠지 깊지 못한 고민, 로봇을 타고 싸우는 미소녀, 멋진 남자 주인공, 과거에 대한 로망…을 잘 엮고, 마지막에 결전을 벌이다 대파된 로봇을 배경으로 똥폼 잡기. 그리고 어색한 3D 카툰 렌더링까지.

그렇지만 오랫만에 재미있게 봤다. 나름 해피 엔딩인데다가, 유쾌한 AI가 나오는 SF라서 그런 듯. 전투 장면 연출도 괜찮았고,  전형적인 소재지만 적당히 밸런스가 맞았던 듯 하다.

단점 부분은 결점이 없는 남자 주인공(왠지 클린트 이스트우드 젊은 시절 닮았다). 능글 맞지만 능력 있고, 잘 싸우고, 잘 쏘고, 추리도 잘한다. 주인공들의 여정이 이 사람이 그냥 맘대로 진행하며 이루어진다. 이 사람의 캐릭터를 좀더 깊게 연출 한다거나, 스토리 진행을 좀 다르게 하면 어땠을 까 싶다.

어색하다고 했지만 3D 카툰 렌더링 수준이 나쁜건 아니다. 어색한 점이 자주 눈에 띄어서 그렇지. 2D 셀 애니메이션의 장점을 잘 섞거나, 싸우는 여성 캐릭터의 몸매나 귀여움을 표시하는 데는 성공적이기도 하다. (애초에 이게 제일 큰 제작 목적이었을 지도 ㅋㅋㅋ)

ps. 모든 의식을 데이터화 해도, 메모리 제한 때문에 결국 배분되는 자원이 제한된다니…한심한 미래로다.  하긴 개인의 데이터가 작을 리는 없으니.

스타 트렉 디스커버리(Star Trek: Discovery) 시즌1 후기

결론은 역시 불만족 스럽다.

마지막 에피소드의 주제는 ‘스타플릿의 이상을 지키는 것’이지만, 내용을 보면 스타플릿이 결국 적을 막기 위해 대량학살을 무기로 사용한다는 것은 달라진게 없다. 협박하는 역할을 여자 클링곤에게 떠넘겼을 뿐. 그래놓고 이상을 지켜냈다고 훈장 나눠주고 있다.  모성에 폭탄 하나 심었다고 협박해서 지도자가 될 수 있는 클링곤? 이라는 것도 어이 없는 설정.

SF로의 참신함도 균사망을 통한 순간이동이라는 것 뿐이다. (그마저도 너무 만능으로 써먹힌다) 그 외의 소재는 대부분 다른 SF나 이전의 스타 트렉 재탕이다.

배우들의 연기나 특수효과는 나쁘지 않지만, 너무 과한 분장으로 외계인들이 표정이 없다.  클링온이 죄다 클링온어만 쓰는 것도 좋은 시도이긴 하지만, 애초에 어색한 외계어를 발음하느라고 연기가 제대로 안되는 듯한 느낌이다. 언어에 별로 감정이 안실린다. 게다가 특수 분장 덕에 표정도 안변하니 말하는 로봇 갖다 놓은 느낌으로 연기한다. 클링온이 제대로 클링온 다울 때는 몸 싸움 할 때 뿐이다.

이야기 전개도 매번 ‘얘는 알고보니 다른 놈이었다’ 식의 반전을 써서 식상하다.   로르카 선장도, 타일러도, 미러 유니버스의 스타메츠도 매번 그런식으로 정체가 밝혀지며 스토리가 전개된다. 너무 우려 먹는 듯.

또한 각각의 캐릭터를 살리면서, 그 캐릭터들이 팀으로의 결속하는 것이 매력이던 스타 트렉이, 로르카 선장이 흑막이어서 탈락하다 보니 이전과 같은 매력을 느끼기 힘들다. 더그 존스가 선장의 역할을 대신하고는 있지만, 역시 브리지 크루들의 개별 에피소드가 없어서 부족하다.

이번 스타 트렉은 그냥 선장이 아닌 흑인 여성과 아시아인 여성이 주역이라는 점 정도가  특징일 뿐, 그다지 만족스럽지 못하게 흘러가 버렸다.

직수 정수기 후기

1개월 전 직수 정수기를 들여놨는데, 직수로서의 장단점이 의외로 있어서 정리해 본다. 대부분 물통이라는 일종의 버퍼가 없어서 생기는 특징.

장점

  • 물통이 없으니 기기가 절반크기도 안된다. 공간효율 급상승
  • 물을 많이 쓰지 않을 때 물통의 물이 상할까봐 일부러 비운다거나 하는 관리에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 냉수나 온수통의 온도 유지를 위해 전력을 쓰지 않는다. (물론 직수 정수기도 파이프를 미리 냉각이나 가열해 놓는 방식이므로 아예 안쓰진 않는다)
  • 물통이 비었다고 물이 갑자기 안나오거나 하지 않는다(하지만 항상 졸졸졸 나옴…)

단점

  • 물이 한번에 많이 나오질 않는다.
  • 수압에 영향을 받아서, 부엌이나 화장실에서 물을 많이 쓰면 바로 물이 더 조금씩 나오게 된다.
  • 수돗물이 차가운 편인 겨울엔 냉수가 아닌 정수도 차가운 편이다. 여름엔 반대로 미지근 할듯.
  • 파이프를 미리 차갑게 해서 냉수를 만드는 방식이라 일정량 냉수를 뽑으면 차갑지 않은 물이 나온다. 물통보단 그 양이 작다. 온수도 마찬가지
  • 물통이 없으니 단수가 되었을 때 바로 식수가 없게 된다.
  • 완전한 직수는 아니다(관에 이전에 뽑은 물이 남아 있다)

최신 유행이라고 대여료가 더 비싼건 덤(아니 물통이 없어진거 외에는 거의 같은데 왜 더 비싸)

스콧 필그림 vs 더 월드 (Scott Pilgrim vs. the World, 2010)

에드거 라이트의 병맛 영화. 원작 만화는 안봐서 잘 재현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만화와 게임 느낌을 섞어서 최대한 병맛을 내고 있다. 병맛 외에는 설명이 불가능한 영화.

넷플릭스에 있음.

워낙 병맛 영화라 미처 생각 못했지만 출연진들이 쟁쟁하다. 메리 엘리자베스 윈스티드야 워낙 미모로 유명하고, 캡틴 아메리카(크리스 에반스)에 캡틴 마블(브리 라슨)에 전직 슈퍼맨(브랜던 라우스)도 나온다. 크리스 에반스와 브랜던 라우스는 정말 슈퍼수퍼 왕재수 캐릭터로 나온다. 보다보면 남여주인공이 더 재수 없긴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