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9.10 Karmic Koala 용 슬라이드 배경화면 만들기

우분투 9.10 에는 배경화면을 슬라이드처럼 여러 이미지를 시간에 따라 바꿔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그런데 그 슬라이드 파일은 우주그림 시리즈 1개만 들어있고, 원하는 슬라이드를 임의로 만들어주는 인터페이스가 없습니다. 윈도7의 그것에 비하면 급조한 듯 부족한 인터페이스죠.

하지만 이 슬라이드 파일은 xml로 만들어져 있어서 간단한 코딩 노가다( -_-);로 제작이 가능합니다.

구조는…

<background>
<starttime>
<year>2009</year>
<month>10</month>
<day>10</day>
<hour>00</hour>
<minute>00</minute>
<second>00</second>
</starttime>

<static>
<duration>유지시간(초)</duration>
<file>이미지1경로</file>
</static>
<transition>
<duration>5.0</duration>
<from>이미지1경로</from>
<to>이미지2경로</to>
</transition>

<static>
<duration>유지시간(초)</duration>
<file>이미지2경로</file>
</static>
<transition>
<duration>5.0</duration>
<from>이미지2경로</from>
<to>이미지1경로</to>
</transition>

</background>

위의 xml은 유지시간만큼 있다가 이미지 1과 이미지 2를 바꿔가며 보여줍니다.
transition부분은 예상하셨다 시피 서서히 두 이미지를 교체하는 역할을 합니다.

유지시간은 초단위니까, 900이면 15분, 600이면 10분입니다. 좋을대로 넣으시면 되고,
이미지 경로는 /media/hdd1/Gallery/wallpaper/1.jpg 이런식으로 하드디스크상의 마운트된 경로를 절대경로로 적어주셔야 합니다.

저런식으로 원하는 이미지들을 죄다 넣어준다음
background.xml 같은 식으로 파일을 저장해서

위의 스샷같은 바탕화면 배경 바꾸기에서 추가를 눌러 xml을 선택해주면 됩니다.

우분투 9.10에 기본으로 포함된 예제는
/usr/share/backgrounds/cosmos/
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신개념 마이크로 카페 “카카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근 트위터같은 마이크로 블로그가 강세다. 쉽게 접근해서 쉽게 쓸 수 있는 장점은 바쁘지만 소통이 필요한 현대인에게 어쩌면 최고의 장점인듯하다. 그런데 이 장점을 다른 곳에도 활용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는 듯 하다.

마이크로 카페를 표방한 카카오도 이런 서비스 중 하나이다. 카카오는 주제를 하나 정해서 카페를 만든다음, 거기에 원하는 사람을 초대해서(서비스 가입을 한 사람이든, 외부의 사람이든 e메일이나 전화번호등으로 초대가 가능하다) 같이 사용하는 서비스이다. 단순 대화나, 동영상, 사진, 일정, 스토리, 연락처, 파일 공유, 음악 감상, 장소에 대해 이야기 하거나 할일을 계획할 수도 있다. 이런 종류들은 앞으로 더 늘어날 계획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본인의 가장 치명적인 단점이 드러나고야 말았다. -_- 지인이 별로 없다는…

카카오는 일반 인터넷 카페와는 달리 자신이 원하는 카페를 찾아서 가입하는 방식이 아니다. 철저하게 ‘지인’의 초대로 가입하고, 내 ‘지인’을 초대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평소에 사교성이 없어서 인터넷에서나 사람들을 만나던 나같은 녀석은 제대로된 서비스 이용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몇몇 아는 사람들끼리 작은 모임 공간이 필요한 경우, 가볍게 사용하기 좋은 서비스가 아닐까 싶다. 기존의 카페를 쓰기엔 관리를 하는데 노력도 필요하고 너무 거창하니까 말이다. 구글 Wave가 비슷한 성격의 서비스지만, 아직 두 서비스 다 테스트와 개발이 이루어지는 중이라 정확한 비교는 힘들다.

지난 목요일에 카카오의 블로거 간담회가 있었다. 가서 맛있는 크라제 햄버거도 먹고, 꽤 좋은 선물들도 받아왔다. (티셔츠는 마음에 안들지만…. 핑크색 커다란 로고가 세겨진…-_-) 서비스의 보여주고 싶은 점을 줄줄이 설명하기 보다는, 블로거들의 의견을 들으려 최대한 시간을 할애하는 모습이 멋져보였다. 카카오측의 바람대로 훌륭하고 인기 좋은 서비스가 되기를 기대한다.

ps.
그런데 참가한 분들이 죄다 평소 블로거 모임들에서 많이 뵙던 유명 블로거분들이었다. 게다가 전부 남자들! (여성은 한분;;) 이번에는 의견을 듣는 목적이었다고 하지만, 제대로 사용기와 홍보를 위해서는 20, 30대 여성 블로거분들을 모아놓고 다시 한번 블로거 간담회를 하는것이 어떨까 의견을 내 본다.

ps.
이상하게 로그인을 해도, 파이어폭스나 구글 크롬에서 ‘비밀번호 저장’을 묻는 버튼이 뜨지 않는다.

ps.
카카오 서비스를 사용하고 싶으신 분들은 저에게 블로그 비밀글이나 트위터 DM으로 e메일을 보내주시면 초대해 드리겠습니다.

우분투 9.10 Karmic Koala 정식 문제점들

아직 베타버전의 문제점들중 nabi가 트레이 아이콘으로 들어가지 않는 문제와 avahi 데몬관련 에러 발생하는 문제는 고쳐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그외에 정식버전은 꽤 안정적인 상태인데요, 한가지 문제가 더 생겼습니다.


부팅할때마다 파이어폭스의 검색창의 ‘검색 사이트’들에 기본값 검색 사이트들이 대거 추가되어버립니다. 순서도 쓰던것과 달리 엉망이구요.

ps.
iriverter 를 시냅틱에서 설치하려고 할때 의존성 오류가 발생합니다.

http://packages.ubunut.com/jaunty/i386/libswt3.2-gtk-java/download
http://packages.ubuntu.com/jaunty/i386/libswt3.2-gtk-jni/download

위의 두 패키지를 설치해주면 정상적인 설치가 가능해집니다.

해외 무료백신 3종 간단 사용기

AVG Free

  • 가장 세련된(?) 그래픽과 과잉된(?) 안내문들이 줄줄 나오는 인터페이스.
  • 다운로드 서버가 너무 느리다.
  • 세부적인 기능 켜고 끄기가 가능한데, 하나만 꺼도 노란색 경고 트래이 아이콘을 항상 띄워놔서 눈에 거슬린다.
  • 윈도7 얼티밋에서 이상하게 하드를 계속 긁고 있는 문제 발생(업데이트도, 스캔도 아닌데도 계속 긁어댐)

Avira AntiVir Personal

  • 낮은 사양이 장점. 업데이트 할때도 CPU가 별로 느려지지 않는다.
  • 활상화 될땐 우산이 펴지고, 활성화가 안되어 있을때는 우산이 접히는 재미있는 트래이 아이콘
  • 지금은 모르겠는데, 내가 쓸땐 한글화가 안되어 있었다.
  • 오진율이 좀 높은거 같다.
  • 업데이트를 꺼놔도 매일밤 12시가 넘으면 계속 뭔가 받아서 갱신한다. 그리고 그때마다 화면 반을 차지하는 커다란 광고창을 보여준다.

Avast! Home Edition

  • 작동하는 사양은 무척 낮은데, 업데이트를 하거나 알림창이 뜨면 CPU를 순간적으로 높게 먹는 경향이 있다. 단일코어 CPU일경우 게임할때는 업데이트를 꺼놓을것.
  • 한글화뿐 아니라 바이러스 경고 음성까지 한국어로 더빙되어 있다.
  • 필요한 옵션과 감시할 프로그램들을 세부적으로 설정가능하다. 모를때는 간단한 인터페이스로도 변경 가능.
  • 그러나 전체적인 인터페이스 그래픽은 윈도98스럽다.
  • Home Edition은 무료인데도, 1년마다 등록키를 재발급받아서 갱신해줘야 한다.
  • 리눅스 버전도 있다! (감시가 아니라 스캐닝만 되는 버전)

역시 무료백신들은 장단점이 있는 듯.

저사양 PC에서 윈도7, 윈도xp, 우분투 9.10 부팅시간 테스트!!

OS 상태들이 다…달라서 공평한 비교는 불가능합니다만, 일단 비교해 보겠습니다.
부팅시간은 부트로더의 메뉴를 엔터키를 누른 순간부터, 로그인 화면이 나오고 하드디스크 읽기가 멈출때까지의 시간입니다.

컴퓨터 사양은 넷북보다 cpu나 그래픽카드가 조금 나은 수준으로…완전 똥컴입니다.

펜티엄4 2.0 노스우드 
ASUS P4B 266SE          
삼성 DDR 1G+512MB   
GeForce FX5900 128MB 
WD 130GB 유체베어링 하드 x2

윈도 7 얼티밋

58.20 초

– 윈도 7은 깐지 하루된 완전 새거입니다. 각종 드라이버와 AVG 백신만 깔려 있는 상태입니다.

윈도 XP sp3

34.05 초

– 윈도xp는 설치한지 19개월된 노인네이며, 20기가에 가까운 프로그램과 게임들이 깔려 있는 상태입니다 -_-; 그러나 1위…

우분투 9.10 Karmic Koala (숙명의 코알라!!…) RC버전

45.06 초

– 우분투 9.10은 약 1달전 베타버전으로 설치해서 업데이트를 해온 상태이며, 프로그램도 왠만한건 다 깔려 있는 상태이긴 합니다.

약간(?) 불공평한 상태입니다만…그래도 가장 불리한 윈도xp가 1위…네요;;;;

덧붙이기
새로 업그레이드한 시스템(인텔 코어2듀오 E6650, 램 2기가 DDR2. Geforce 8500GT)의 사양에서 부팅속도는 훨씬 빨라졌습니다.

윈도7 얼티밋 18.82초
우분투 9.10RC 16.64초

Draco Anti Spam ver. 0.55 업데이트

제 안티스팸 플러그인이 오랫만에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사실 업데이트는 매번 했는데, 배포하기가 귀찮아서 저만 쓰고 있었죠..;;;)

그리고 이번부터는 압축 포맷을 7z 로 갑니다. 압축은 7z가 최강이죠.

0.55
– 필터패턴 추가
– 스팸처리 횟수를 위젯으로 표시하는 기능 추가

다운로드는 여기

시원한~ 삼양 대관령 황태라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분투한국사용자 모임에서 rilaman님이 삼양 대관령 황태 라면을 추천해주셨다. 그래서 한번 도전.

가격은 1200원. 나름 비싼편이다. 포장부터 노리끼리한 황금색을 써서 고급스러워 보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프는 역시 표준 구성인 분말스프와 후레이크. 네모가 아니라 너구리처럼 둥근 면이 특징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계란만 넣고 끓인 조리예

일단 국물이 정말 시원하다. 실제로 황태조각들도 들어 있고, 살짝 얼큰한 것이 해장용 라면으로는 그만이다. 시원하기로 유명한 라면인 무파마는 너무 자극적인 맛인데 반해, 황태라면은 라면 특유의 느끼하고 자극적인 맛이 최소화 되어 있어 뒷긑까지 깔끔하다.

봉지에 있는 “얼큰한”이라는 말은 오해의 여지가 있다. 나는 매운 라면은 절대 못먹을 정도로 매운맛에 극히 약한 편인데, 이 라면에서는 별로 맵다는 느낌을 받지 않았다. 표시만 보고 매운맛을 기대했다가는 실망할 것이다.

면은 처음에 먹을때는 다소 평범하게 느껴지지만, 뒷맛이 기름에 튀겨서 나오는 것과는 살짝 다른 고소한 느낌이 더 있다. 더구나 생각보다 면이 쉽게 불지 않아서 좋았다.

이 라면은 삼양 참 착한면에 이어서 어머니께서 두번째로 반입(?)을 허락한 라면이다. 그만큼 부담 없는 맛을 가지고 있다. 시원한 맛이나 순한 맛의 라면을 좋아하는 분들께 강추.

우분투 9.10 베타버전의 nabi 버그 땜질 방법

원문 http://kldp.org/node/109355
원문은 명령어를 제대로 기입해놓지 않았고, 내용에 오타가 있어 초보자분들이 실수할 수 있기에, 바꿔서 적어놓겠습니다.

1.
터미널에서
sudo gedit /usr/bin/delay_nabi
후 열리는 창에

#!/usr/bin/env bash

sleep 25          # 적당한 시간을 주면 됩니다.
/usr/bin/nabi

를 입력해 저장한다.

2.
파일을 실행할수 있게 권한 변경
sudo chmod a+x /usr/bin/delay_nabi

3.
입력기 설정파일을 홈으로 복사
cp /etc/X11/xinit/xinput.d/nabi ~/.xinput.d/my_nabi

4.
복사된 설정파일을 1번에서 만든 파일을 가르키도록 바꾼다.
gedit ~/.xinput.d/my_nabi
후에 열리는 파일을 편집
/usr/bin/nabi 항목을 /usr/bin/delay_nabi 로 변경

5.
im-switch -c
를 해서 입력기를 ~/.xinput.d/my_nabi 항목을 선택
(이름뒤에 ~가 붙어 있는 항목은 gedit의 백업파일이니 선택하지 않도록 주의.
거슬리면 rm ~/.xinput.d/my_nabi~ 로 지울 것.)

6.
X window 재시작 혹은 재부팅.

주의)
nabi를 기존 배포판에서 gnome 제어판 자동 시작프로그램으로 실행했었다면 해제하기 바랍니다.
위 설정들은 system 전체(wide) 사용자용이 아닙니다.

ps)
정식버전 발표 후 버그가 수정되면, im-switch -c 에서 nabi로 변경하면 됩니다.

compiz 속도 최적화 팁

켜자리 느리고, 안켜자니 불편해지는 리눅스의 컴피즈!!

많이 알려져 있지만 모르는 분들이 많은 최적화 팁.

  1. 컴피즈 설정 관리자를 설치한다.
    sudo apt-get install compizconfig-settings-manager
  2. 시스템 – 기본설정 – 컴피즈 설정 관리자를 실행
  3. 갱신 주기 감지 옵션을 끈다.
  4. 갱신 주기 옵션을 자신의 모니터 갱신 속도(LCD에서는 주로 60)에 맞춘다.
  5. VBlank에 동기화 옵션을 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것만으로도 곧바로 컴피즈의 갱신속도가 2배가 된다.

필요하지 않는 다른 플러그인을 끄거나 옵션값을 낮춰 주는 것도 큰 효과를 볼 수 있으니, 사양이 낮은 분들은 컴피즈 설정 관리자를 잘 활용하도록 연습하는게 좋다. 나도 우분투 리눅스를 쓰게 되면서 가장 여러번 손대본 프로그램중 하나.

ps.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카운터 스트라이크 게임을 할때 쓰이는 프레임레이트 향상법과 같은 방법이라능 -_-;